101. 수목의 상처 치유 및 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내수피가 보존되어 있어야 유합조직이 형성될 수 있다.
② 긴 상처에 부착할 수피 조각은 못으로 고정하고 건조시킨다.
③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처 면적의 두 배 이상 수피를 제거한다.
④ 들뜬 수피는 제자리에 고정하고 햇빛이 비치게 투명 테이프로 감싼다.
⑤ 새순이 붙어 있는 건강한 가지를 이용하여 넓게 격리된 수피를 연결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2. 토목공사장에서 수목을 보전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바람 피해가 예상되면 수관을 축소한다.
② 햇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그늘에 있던 줄기는 마대로 감싼다.
③ 부득이하게 중장비가 이동하는 곳에서는 지표면에 설치한 유공철판을 제거한다.
④ 차량이 수관폭 내부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보전할 수목의 주변에 울타리를 설치한다.
⑤ 부전할 수목에 도움이 안 되는 주변의 수목은 밑동까지 바짝 자르거나 뿌리까지 제거한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3. 수목의 상태에 따른 피해 발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밑동을 휘감는 뿌리가 있으면 바람피해의 가능성이 적다.
② 줄기의 한 곳에 가지가 밀생하면 가지수피가 함몰될 가능성이 크다.
③ 가지가 줄기에서 둔각으로 자라면 겨울에 찢어질 가능성이 크다.
④ 수간에 큰 공동이 있으면 수간 하중 감소로 바람 피해의 가능성이 적다.
⑤ 음파로 줄기를 조사하여 음파가 목재를 빠르게 통과하는 부위가 많으면 부러질 가능성이 크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4. 제시된 수종 중 양수 2종을 고른 것은?
| ㄱ. 낙우송 ㄴ. 녹나무 ㄷ. 회양목 ㄹ. 느티나무 ㅁ. 비자나무 ㅂ. 사철나무 |
① ㄱ, ㄹ
② ㄴ, ㄷ
③ ㄷ, ㅁ
④ ㄹ, ㅁ
⑤ ㅁ, ㅂ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5. 느티나무 가지를 길게 남겨 전정하였는데 남은 가지에서 시작되어 원줄기까지 부후되고 있다.
이 현상의 원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전정 상처가 유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② 남겨진 가지에 지의류가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③ 전정 시 가지밑살(지륭)이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④ 원줄기의 지피융기선이 부후균에 감염되었기 때문이다.
⑤ 수목의 과민성반응에 의하여 가지와 원줄기의 세포들이 사멸했기 때문이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6. 수목의 다듬기 전정 시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향나무는 어린 가지를 여름에 전정해도 된다.
② 무궁화는 4월에 전정하여도 당년에 꽃을 볼 수 있다.
③ 측백나무는 당년지를 늦봄에 잘라서 크기를 조절한다.
④ 백목련은 등(나무) 개화기 전에 전정하면 다음 해에 꽃을 볼 수 없다.
⑤ 중부지방에서는 소나무의 적심을 잎이 나오기 전인 5월 중하순경에 실시한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7. 제시된 내용 중 수목의 이식성공률을 높이는 방법을 모두 고른 것은?
| ㄱ. 어린나무를 이식한다. ㄴ. 지주목을 5년 이상 유지한다. ㄷ. 생장이 활발한 시기에 이식한다. ㄹ. 용기묘는 휘감는 뿌리를 절단한다. ㅁ. 굴취 전에 수간을 보호재로 피복한다. |
① ㄱ, ㄴ, ㄷ
② ㄱ, ㄴ, ㄹ
③ ㄱ, ㄹ, ㅁ
④ ㄴ, ㄷ, ㅁ
⑤ ㄷ, ㄹ, ㅁ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8. 과습에 대한 저항성이 큰 수종으로만 나열한 것은?
① 낙우송, 벚나무, 사시나무
② 전나무, 오리나무, 버드나무
③ 곰솔, 아까시나무, 층층나무
④ 낙우송, 물푸레나무, 오리나무
⑤ 가문비나무, 버드나무, 양버즘나무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9. 수목에 필요한 무기양분 중 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엽록소 생성과 호흡과정에 관여한다.
② 토양에 과잉되면 수목에 인산이 결핍될 수 있다.
③ 결핍 현상은 알칼리성 토양에서 자라는 수목에서 흔히 나타난다.
④ 결핍되면 침엽수와 활엽수 모두 잎에 황화 현상이 나타난다.
⑤ 체내 이동성이 낮아 성숙한 잎에서 먼저 결핍 증상이 나타난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0. 대기오염물질인 오존(O₃)과 PAN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오존과 PAN은 황산화물과 탄화수소의 광화학 반응으로 발생한다.
② 오존은 해면조직에, PAN은 책상조직에 가시적인 피해를 일으킨다.
③ 오존은 성숙한 잎보다 어린잎이, PAN은 어린잎보다 성숙한 잎이 감수성이 크다.
④ 느티나무와 왕벚나무는 오존 감수성 수종이며, 은행나무와 삼나무는 오존 내성 수종이다.
⑤ 오존의 피해 증상은 엽록체가 파괴되어 백색 반점이 나타나면서 괴사되나 황화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1. 제설염 피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상록수는 수관 전체 잎의 90% 이상 피해를 받으면 고사할 수 있다.
② 낙엽활엽수에서 잎 피해는 새싹이 자라면서 봄 이후에 증상이 나타난다.
③ 제설염을 뿌리기 전에 수목 주변의 토양 표면을 비닐로 멀칭해 주면 예방효과가 있다.
④ 상록수는 겨울철에 증산억제제를 평소보다 적게 뿌려 줌으로써 피해를 줄일 수 있다.
⑤ 수액이 위로 곧게 상승하는 수종은 흡수한 뿌리와 같은 방향에서 피해증상이 나타난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2. 산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산불의 3요소는 연료, 공기, 바람이다.
② 산불 확산 속도는 평지가 계곡부보다 훨씬 빠르다.
③ 내화수림대 조성에 적합한 수종은 황벽나무, 굴참나무, 가시나무, 동백나무 등이다.
④ 산불은 지표화, 수간화, 수관화, 지중화로 구분되며, 한국에서 피해가 가장 큰 것은 수간화이다.
⑤ 산불로 인한 재는 질소 성분이 많고, 인산석회와 칼륨 등이 있어 토양척박화를 막아 준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3. 토양경화(답압)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① 용적밀도 감소
② 가스 교환 방해
③ 뿌리 생장 감소
④ 토양공극률 감소
⑤ 수분침투율 감소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4. 수목 생장에 필수인 미량원소만 나열한 것은?
① 아연, 구리, 망간
② 카드뮴, 납, 구리
③ 구리, 수은, 비소
④ 납, 아연, 알루미늄
⑤ 알루미늄, 카드뮴, 망간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5. 다음 ( ) 안에 들어갈 명칭이 옳게 연결된 것은?

ㄱ ㄴ ㄷ ㄹ
① 상표명 화학명 일반명 품목명
② 일반명 품목명 상표명 화학명
③ 품목명 일반명 화학명 상표명
④ 화학명 상표명 품목명 일반명
⑤ 화학명 품목명 일반명 상표명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6. 농약 사용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농약 살포 방법은 분무법, 미스트법, 미량살포법 등 다양하다.
② 농약의 작물부착량은 제형, 살포액의 농도,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진다.
③ 농약의 효과는 살포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많은 양을 살포할수록 효과는 계속 증가한다.
④ 무인멀티콥터로 농약을 살포할 때 기류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⑤ 희석살포용 농약의 경우 정해진 희석배율로 조제하여 살포하지 않으면 약효가 저하되거나
약해가 유발될 수 있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7. 제제의 형태가 액상이 아닌 것은?
① 액제
② 유제
③ 미탁제
④ 수용제
⑤ 액상수화제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8. 농약 안전사용기준 설정 과정의 모식도이다. ( ) 안에 들어갈 용어로 옳게 연결된 것은?
( 단, ADI: 1일 섭취허용량, MRL:농약잔류 허용기준, NOEL:최대무독성용량이다.)

ㄱ ㄴ ㄷ
① ADI MRL NOEL
② ADI NOEL MRL
③ NOEL ADI MRL
④ NOEL MRL ADI
⑤ MRL ADI NOEL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9. 에르고스테롤 생합성저해 작용기작을 지닌 살균제가 아닌 것은?
① 메트코나졸(metconazole)
② 테부코나졸(tebuconazole)
③ 펜피라자민(fenpyrazamine)
④ 마이클로뷰타닐(myclobutanil)
⑤ 피라클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0. 살충제 설포사플로르(sulfoxaflor)의 작용기작은?
① 키틴합성 저해(15)
② 라이아노딘 수용체 변조(28)
③ 신경전달물질 수용체 변조(4c)
④ 현음기관 TRPV 통로 변조(9b)
⑤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1a)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1.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 티아페나실 액상수화제의 유효성분별 작용기작을 옳게 나열한 것은?
① 엽록소 생합성 저해(H14) + 광계 Ⅱ 저해(H05)
② 글루타민 합성효소 저해(H10) + 광계 Ⅱ 저해(H05)
③ 글루타민 합성효소 저해(H10) + 엽록소 생합성 저해(H14)
④ 아세틸 CoA 카르복실화 효소 저해(H01) + 글루타민 합성효소 저해(H10)
⑤ 엽록소 생합성 저해(H14) + 아세틸 CoA 카르복실화 효소 저해(H01)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2. 농약의 대사과정 중 복합기능 산화효소(mixed function oxidase)가 관여하는 반응이 아닌 것은?
① 에폭시화
② O-탈알킬화
③ 방향족 수산화
④ 니트로기의 아민 변환
⑤ 산소 원자의 황 원자 치환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3.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지침」 소나무류 보존 가치가 큰 산림 중 '소나무 보호·육성을 위한
법적 관리지역' 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국립공원 내 소나무림
② 소나무 문화재용 목재생산림
③ 소나무 종자공급원(채종원, 채종림)
④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 소나무림
⑤ 금강소나무림 등 특별수종육성권역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4. 「산림보호법 시행령」 제12조의 10에 따른 나무병원 등록의 취소 또는 영업 정지의 세부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부정한 방법으로 나무병원 등록을 변경한 경우 등록이 취소된다.
② 나무병원 등록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3차 위반 시 등록이 취소된다.
③ 나무병원의 등록증을 다른 자에게 빌려준 경우 1차 위반 시 영업정지 6개월, 2차 위반 시 등록이
취소된다.
④ 위반행위의 횟수에 따른 행정처분 기준은 최근 5년 동안 같은 위반행위로 행정처분을 받은 경우에
적용한다.
⑤ 위반행위가 고의나 중대한 과실이 아닌 사소한 부주의나 오류로 인한 것으로 인정되는 영업정지인
경우 그 처분의 2분의 1범위에서 감경할 수 있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5. 「산림보호법 시행규칙」 제19조의9(진료부·처방전등의 서식 등)에 따라 나무의사가 작성하는
진료부에 명시되지 않은 항목은?
① 생육환경
② 진단결과
③ 수목의 표시
④ 수목의 상태
⑤ 처방·처치 등 치료방법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30827 각시가지나방
| 나무의사 11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해충학(26~50) (8) | 2025.06.26 |
|---|---|
| 나무의사 11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병리학(1~25) (14) | 2025.06.25 |
| 나무의사 10회 필기 기출문제 산림토양학(76~100) (1) | 2025.01.07 |
| 나무의사 10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생리학(51~75) (1) | 2025.01.07 |
| 나무의사 10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해충학(26~50) (3) | 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