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염원이 바람에 의해 직접적으로 전반 되는 수목병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잣나무 털녹병
② 동백나무 탄저병
③ 은행나무 잎마름병
④ 사철나무 흰가루병
⑤ 사과나무 불마름병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 봄에 향나무 잎과 줄기에 형성된 노란색 또는 오렌지색 구조체에 생성되는 것은?
① 녹포자
② 유주포자
③ 겨울포자
④ 여름포자
⑤ 녹병정자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 병원균의 분류군(속)이 나머지와 다른 것은?
① 소나무 잎마름병
② 회양목 잎마름병
③ 명자나무 점무늬병
④ 느티나무 갈색무늬병
⑤ 배롱나무 갈색점무늬병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 표징을 관찰할 수 없는 것은?
① 회화나무 녹병
② 뽕나무 오갈병
③ 벚나무 빗자루병
④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⑤ 단풍나무 타르점무늬병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 무성생식으로 생성되는 포자를 모두 고른 것은?
| ㄱ. 자낭포자 ㄴ. 담자포자 ㄷ. 난포자 ㄹ. 분생포자 ㅁ. 유주포자 ㅂ. 후벽포자 |
① ㄱ, ㅁ
② ㄱ, ㅂ
③ ㄴ, ㅂ
④ ㄷ, ㄹ
⑤ ㄹ, ㅁ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 수목병과 병원균이 형성하는 유성세대 구조체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밤나무 잉크병 - 자낭자좌
② 밤나무 줄기마름병 - 자낭각
③ 벚나무 빗자루병 - 나출자낭
④ 단풍나무 흰가루병 - 자낭구
⑤ 소나무 피목가지마름병 - 자낭반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7. 수목 병원성 곰팡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빗자루병을 일으킬 수 있다.
② Biolog 검정법을 통해 동정할 수 있다.
③ 기공과 피목을 통해 식물체 내부로 침입할 수 있다.
④ 휴면·월동 구조체인 균핵과 후벽포자는 전염원이 될 수 있다.
⑤ 탄저병을 일으키는 Colletotrichum 속은 강모(setae)를 형성하기도 한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 병의 진단에 사용하는 코흐(koch)의 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병원체는 반드시 병든 부위에 존재해야 한다.
② 재분리한 병원체의 유성생식이 확인되어야 한다.
③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체는 순수배양이 가능해야 한다.
④ 순수 분리된 병원체를 동종 수목에 접종했을 때 동일한 병징이 재현되어야 한다.
⑤ 병징이 재현된 감염조직에서, 접종했던 병원체와 동일한 것이 재분리되어야 한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 병원체와 제시된 병명의 연결이 모두 옳은 것은?
| ㄱ. 벚나무 빗자루병 ㄴ. 뽕나무 자주날개무늬병 ㄷ. 감귤 궤양병 ㄹ. 소나무 혹병 ㅁ. 호두나무 근두암종병 ㅂ.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ㅅ. 쥐똥나무 빗자루병 ㅇ. 소나무재선충병 |
① 선충 - ㅁ, ㅇ
② 세균 - ㄷ, ㄹ
③ 곰팡이 - ㄴ, ㄹ
④ 바이러스 - ㄴ, ㅂ
⑤ 파이토플라스마 - ㄱ, ㅅ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 포플러 잎녹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중간기주로 일본잎갈나무(낙엽송) 등이 알려져 있다.
② 한국에서는 대부분 Melampsora larici-populina에 의해 발생한다.
③ 한국에서도 포플러 잎녹병에 대한 저항성 클론이 개발·보급되었다.
④ 월동한 겨울포자가 발아하여 생성된 담자포자가 포플러 잎을 감염한다.
⑤ 여름포자는 핵상이 n+n이며, 기주를 반복 감염하여 피해를 증가시킨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 병원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곰팡이는 자연개구로 침입할 수 없다.
② 식물기생선충은 구침을 가지고 있지 않다.
③ 바이러스는 식물체에 직접 침입할 수 있다.
④ 세균은 수목의 상처를 통해서만 침입할 수 있다.
⑤ 파이토플라스마는 새삼이나 접목을 통해 전반 될 수 있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 바이러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세포 체제를 가지고 있지 않다.
② 절대기생성이며 기주특이성이 없다.
③ 복제 시 핵산에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 있다.
④ 식물체 내 원거리 이동 통로는 주로 체관이다.
⑤ 유전자 발현은 기주의 단백질 합성기구에 의존한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3. 파이토플라스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세포벽을 통해 양분흡수와 소화효소 분비를 조절한다.
② 매개충을 통해 전반 되며 수목에 전신감염을 일으킨다.
③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으로 동정할 수 있다.
④ 오동나무 빗자루병, 붉나무 빗자루병 등의 병원체이다.
⑤ 병든 나무는 벌채 후 소각하거나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나무주사로 치료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4. 수목병의 표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호두나무 탄저병 : 병반 위에 분생포자 덩이를 형성한다.
② 회화나무 녹병 : 줄기와 가지에 길쭉한 혹이 만들어진다.
③ 삼나무 잎마름병 : 분생포자덩이가 분출되어 마르면 뿔 모양이 된다.
④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 주요 표징 중 하나는 뿌리꼴균사다발이다.
⑤ 호두나무 검은(돌기)가지마름병 : 분생포자덩이가 빗물에 씻겨 수피로 흘러내리면 잉크를 뿌린듯이 보인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5. 수목병 진단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바이러스 봉입체는 전자현미경으로만 관찰된다.
② 그람염색법으로 소나무 혹병의 병원균을 동정한다.
③ 사철나무 대화병은 병환부를 습실처리하여 표징 발생을 유도한다.
④ 오동나무 빗자루병은 Toluidine blue를 이용한 면역학적 기법으로 진단한다.
⑤ 향나무 녹병 진단을 위해 병원균 DNA의 ITS 부위를 PCR로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6. 수목병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배롱나무 흰가루병 : 일조와 통기 환경을 개선한다.
② 소나무 잎녹병 : 중간기주인 뱀고사리를 제거한다.
③ 소나무 가지끝마름병 : 수관 하부를 가지치기한다.
④ 대추나무 빗자루병 :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을 나무주사한다.
⑤ 벚나무 갈색무늬구멍병 : 병든 잎을 모아 태우거나 땅속에 묻는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7. 비기생성 원인에 의한 수목병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옳은 것은?
① 기주특이성이 높다.
② 병원체가 병환부에 존재하고 전염성이 있다.
③ 수목의 모든 생육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다.
④ 환경조건이 개선되어도 병이 계속 진전된다.
⑤ 미기상(microclimate)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8. 제시된 특징을 모두 갖는 병원균에 의한 수목병은?
| * 분생포자를 생성한다. * 세포벽에 키틴을 함유한다. * 균사 격벽에 단순격벽공이 있다. |
① 철쭉 떡병
② 동백나무 흰말병
③ 오리나무 잎녹병
④ 사과나무 흰날개무늬병
⑤ 느티나무 줄기밑둥썩음병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9. Ophiostoma 속 곰팡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토양 속에 균핵을 형성한다.
② 천공성 해충의 몸에 붙어 전반 된다.
③ 느릅나무 시들음병의 병원균이 속한다.
④ 멜라닌 색소를 합성하여 목재 변색을 일으킨다.
⑤ 변재부의 방사유조직에서 생장하여 감염부위가 나타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 수목 뿌리에 발생하는 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파이토프토라뿌리썩음병균은 유주포자낭을 형성한다.
② 안노섬뿌리썩음병균은 아까시흰구멍버섯을 형성한다.
③ 리지나뿌리썩음병균은 자낭반 형태의 뽕나무버섯을 형성한다.
④ 모잘록병은 기주 우점병이며 주요 병원균으로는 Pythium 속과 Rhizoctonia solani등이 있다.
⑤ 뿌리혹선충은 뿌리 내부에 침입하여 세포와 세포 사이를 이동하는 이주성 내부기생 선충이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1. 소나무 가지끝마름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피해 입은 새 가지와 침엽은 수지에 젖어 있다.
② 감염된 어린 가지는 말라 죽으며, 아래로 구부러진 증상을 보인다.
③ 침엽 및 어린 가지의 병든 부위에는 구형 또는 편구형 분생포자각이 형성된다.
④ 가뭄, 답압, 과도한 피음 등으로 수세가 약해진 나무에서는 굵은 가지에도 발생한다.
⑤ 병원균은 Guignardia 속에 속하며 병든 낙엽, 가지 또는 나무 아래의 지피물에서 월동한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2. 한국에서 발생하는 참나무 시들음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주요 피해 수종은 신갈나무이다.
② 감염된 나무는 변재부가 변색된다.
③ 병원균은 유성세대가 알려지지 않은 불완전균류이다.
④ 물관부의 수분 흐름이 감소되어 나무전체가 시든다.
⑤ 병원균은 기주수목의 방어반응을 이겨내기 위해 체관 내에 전충체(tylose)를 형성한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3. 수목에 기생하는 겨우살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진정겨우살이는 침엽수에 피해를 준다.
② 기주식물에 흡기를 만들어 양분과 수분을 흡수한다.
③ 수간이나 가지의 감염 부위는 부풀고 강풍에 쉽게 부러질 수 있다.
④ 방제를 위해 감염된 가지를 전정한 후 상처도포제를 처리하는 것이 좋다.
⑤ 진정겨우살이는 광합성을 할 수 있으나 수분과 무기양분은 기주식물에 의존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4. 벚나무 번개무늬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접목에 의한 전염이 가능하다.
② 병원체는 American plum line pattern virus 등이 있다.
③ 봄에 나온 잎의 주맥과 측맥을 따라 황백색 줄무늬가 나타난다.
④ 병징은 매년 되풀이되어 나타나며 심할 경우 나무는 고사한다.
⑤ 감염된 잎의 즙액을 지표식물에 접종하면 국부병반이 나타나고, ELISA로 진단할 수 있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5. 버즘나무 탄저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병원균의 유성세대는 Apiognomonia 속에 속한다.
② 병원균은 무성세대 포자형성기관인 분생포자각을 형성한다.
③ 감염된 낙엽과 가지를 제거하면 추가감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④ 봄에 잎이 나온 후 비가 자주 내릴 때 많이 발생하며, 어린잎과 가지가 말라 죽는다.
⑤ 잎이 전개된 이후에 감염되면 엽맥을 따라 번개 모양의 갈색 병반을 보이며 조기 낙엽을 일으킨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30706 알락주홍불나방
| 나무의사 10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생리학(51~75) (1) | 2025.01.07 |
|---|---|
| 나무의사 10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해충학(26~50) (3) | 2025.01.05 |
| 나무의사 9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관리학(101~125) (3) | 2025.01.03 |
| 나무의사 9회 필기 기출문제 산림토양학(76~100) (3) | 2025.01.02 |
| 나무의사 9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생리학(51~75) (2)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