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의사/나무의사 기출문제

나무의사 5회 기출문제 수목병리학 삼(11~15).

반응형

11. 수목 바이러스의 특징과 감염으로 인한 수목의 피해가 옳게 나열된 것은?

ㄱ. 절대 기생성

ㄴ. 기주 특이성

ㄷ. DNA로만 구성

ㄹ. 세포로 구성
a. 물관부 폐쇄

b. 균핵 형성

c. 잎의 기형

d. 모자이크 증상

 

① ㄱ, ㄹ -  a, d

② ㄱ, ㄷ -  b, c

③ ㄱ, ㄴ -  c, d

④ ㄴ, ㄷ -  b, d

⑤ ㄴ, ㄹ -  a, c

 

 

정답 ->

 

 

* 향문사 수목병리학 p225~228 참조

한 종류의 바이러스는 외가닥이나 겹가닥으로 된 RNA 또는 DNA 중 한가지만을 가지고 있는데, 대부분의 식물바이러스의 핵산은 외가닥 RNA이다.

바이러스 입자의 기본구조는 핵산과 외피단백질로 구성된다.

바이러스에 의한 수목피해로는 잎의 기형, 모자이크현상, 황화, 괴저병반, 위축, 왜화 등이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 수목병과 병원균의 구조물에 대한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Hypoxylon 궤양병 - 자낭각

② 밤나무 줄기마름병 - 자낭구

 벚나무 빗자루병 - 나출자낭

④ Scleroderris  궤양병 - 자낭반

⑤ 소나무류 피목가지마름병 - 자낭

 

 

정답 ->

 

 

 

* 향문사 수목병리학 p116~117 참조

밤나무 줄기마름병은 자좌 아래쪽에 가늘고 긴 목을 가진 플라스크 모양의 자낭각이 다수 형성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3. 수목에 발생하는 녹병과 중간 기주의 연결이 옳은 것은?

ㄱ. 후박나무 녹병

ㄴ. 포플러 잎녹병

ㄷ. 산철쭉 잎녹병

ㄹ. 소나무 혹병

ㅁ. 오리나무 잎녹병
a. 황벽나무

b. 뱀고사리

c. 까치밥나무

d. 쑥부쟁이

e. 없음

 

① ㄱ -  e

② ㄴ -  b

ㄷ -  a

④ ㄹ -  c

⑤ ㅁ -  d

 

 

정답 ->

 

 

* 향문사 수목병리학 p158~171 참조

< 수목의 녹병 중간기주 >

잣나무 털녹병 - 송이풀, 까치밥나무

소나무 혹병 - 졸참나무, 신갈나무

소나무 줄기녹병 - 모란, 작약, 송이풀

소나무 잎녹병 - 참취, 쑥부쟁이, 황벽나무

향나무 녹병 - 배나무

포플러 잎녹병 - 일본잎갈나무(낙엽송), 현호색

전나무 잎녹병 - 뱀고사리

산철쭉 잎녹병 - 가문비나무

오리나무 잎녹병 - 일본잎갈나무(낙엽송)

버드나무 잎녹병 - 일본잎갈나무(낙엽송)

후박나무 녹병, 회화나무 녹병 - 없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4. 수목 바이러스병의 진단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자현미경에 의한 진단

② 항혈청에 의한 면역학적 진단

 지표식물에 의한 생물학적 진단

④ 감염세포 내 봉입체 확인에 의한 진단

⑤ 16s rDNA 분석에 의한 분자생물학적 진단

 

 

정답 ->

 

 

* 향문사 수목병리학 p232~235, p195 참조

16s rDNA 분석에 의한 분자생물학적 진단은 파이토플라스마 진단법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5. 한국의 참나무 시들음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병원균은 인공배지에서 잘 자란다.

② 병원균은 Raffaelea quercus - mongolicae이다

 참나무류 중에서 신갈나무에 주로 발생한다.

④ 피해가 심해지면 자낭반이 수피틈을 뚫고 나온다.

⑤ 물관부의 주요 기능인 물과 무기양분의 이동을 방해한다.

 

 

정답 ->

 

 

* 향문사 수목병리학 p172~174, p128 참조

피해가 심해지면 자낭반이 수피틈을 뚫고 나오는 증상은 소나무류 피목가지마름병에 대한 설명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