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의사/나무의사 기출문제

나무의사 5회 필기 기출문제 산림토양학 사.(91~95)

반응형

90. 산림토양에서 유기물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온 상승

② 용적밀도 증가

③ 토양입단화 증가

④ 양이온교환용량 증가

⑤ 금속과 킬레이트 화합물 형성

 

 

 

답 -> 

 

 

 

* 문사 토양학  p277~280참조

- 유기물은 입단화를 통해 용적밀도를 낮추어 토양공극을 증가시킨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1. 산불 발생 후 초기 단계에서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침식 증가

② 토양 pH 감소

③ 용적밀도 증가

④ 수분침투율 감소

⑤ 수분증발량 증가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2. 오염토양의 생물학적 처리 기술이 아닌 것은?

 

① Bioventing

② Landfarmimg

③ Soil flushing

④ Biodegradation

⑤ Phytoremediation

 

 

 

답 -> 

 

 

 

* 문사 토양학  p383~390참조

- Soil flushing은 물리, 화학적 처리기술에 속한다.

- 생물학적 처리기술 : Bioventing, Landfarming, Biodegradation, Phytoremediatione

- 화학적 처리기술 : Soil flushing, 토양증기추출법(ISV,SVE), Stabilization(안정화),

                               vitrification(유리화), 화학적 산화/환원

- 열적 처리기술 : 소각, 열분해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3. 토양 침식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목초 재배

② 완충대 설치

③ 등고선 재배

④ 지표면 피복

⑤ 작부관리인자 값 증가

 

 

 

정답 -> 

 

 

 

* 문사 토양학  p404~409참조

- 작부관리인자는 토양이 거의 피복되어 있지 않을수록 값이 크다.

침식방지를 위해 식생이 밀생 하려면 작부관리인자 값이 작아져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4. <지위지수곡선>을 이용하여 임지의 생산력을 추정할 때 필요한 것은?

 

① 하층목(열세목 · 피압목)의 수고와 임령

② 상층목(우세목 · 준우세목)의 수고와 임령

③ 하층목(열세목 · 피압목)의 수관폭과 임령

 상층목(우세목 · 준우세목)의 수고와 흉고직경

 상층목(우세목 · 준우세목)의 흉고직경과 임령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5. 건조 시료의 총무게가 10g이고 이 중 자갈 2g, 모래 4g, 미사 2g일 때 토양의 구성비로

옳은 것은?

 

① 모래 : 40%, 미사 : 20%, 점토 : 20%

② 모래 : 40%, 미사 : 20%, 점토 : 40%

③ 모래 : 40%, 미사 : 25%, 점토 : 25%

④ 모래 : 50%, 미사 : 20%, 점토 : 20%

⑤ 모래 : 50%, 미사 : 25%, 점토 : 25%

 

 

 

답 -> 

 

 

 

* 건조시료(10g) = 자갈(2g) + 모래(4g) + 미사(2g) + 점토(2g)

모래 : 미사 : 점토 = 4 : 2 : 2

모래 = 4/8*100 = 50

미사 = 2/8*100 = 25

점토 = 2/8*100 = 25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회양목명나방

2023.07.18. 회양목명나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