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의사/나무의사 기출문제

나무의사 6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병리학 (1~25)

반응형

1. 다음 나무병의 공통점으로 옳은 것은?

*  소나무 시들음병(소나무재선충병)

*  잣나무 털녹병

*  참나무 시들음병

 

① 방제 방법이 없다.

② 병원체는 주로 물관에 기생한다.

③ 병원체는 줄기나 가지를 감염한다.

④ 최근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⑤ 병원체는 천공성 해충에 의해 전반 된다.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 곰팡이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 선모(Pilus)

② 강모(Setae)

③ 하티그망(Hartig net)

④ 꺾쇠연결(Clamp connection)

⑤ 탄소재순환(Carbon recycling)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 다음 병원균의 공통적 특성이 옳게 연결된 것은?

a. 역병균             b. 탄저병균

c. 흰가루병균      d. 떡병균

e. 녹병균             f. 목재청변병균

 

① a, e - 난균류

② d, f - 담자균류

③ b, d - 검은색 포자

④ e, f - 분생포자 형성

⑤ b, c - 잎과 가지 감염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 CODIT 이론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방어벽 3은 나이테 방향으로 만들어진다.

② CODIT 박사가 만든 부후균 생장모델이다.

③ 방어벽 1이 파괴되면 CODIT 방어는 완전히 실패한 것이다.

④ 주된 내용은 부후재와 건전재 경계에 방어벽을 형성하는 것이다.

⑤ 방어벽 4는 나무에 상처가 생긴 후 만들어진 조직(세포)에 형성된다.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 나무병의 임업적 방제법으로 옳은 것은?

 

① 토양 배수환경을 개선하면 빗자루병 발생을 줄일 수 있다.

② 솎음전정으로 통풍 환경을 개선하여 잎점무늬병 발생을 줄일 수 있다.

③ 무육작업은 발병을 줄이는 한편, 각종 병해 조기발견 기회를 감소시킨다.

④ 오동나무 임지의 탄저병은 돌려짓기(윤작)를 통해 발생을 줄일 수 있다.

⑤ 황산암모늄은 토양을 알칼리화하여, 뿌리썩음병 발생이 증가하므로 과용하지 말아야 한다.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 영지버섯 속에 의한 뿌리썩음병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침엽수는 감염하지 못한다.

② 감염된 나무는 잎이 시들기도 한다.

③ 매개충은 알락하늘소로 알려져 있다.

④ 가장 먼저 나타나는 표징은 지표면에 발생한 자낭각이다.

⑤ 병원균은 심재를 감염하지만, 나무의 구조적 강도에는 큰 영향이 없다.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7. 낙엽송 가지끝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고온건조한 곳에서 피해가 심하다.

② 디플로디아순마름병이라고도 한다.

③ 명나방류 유충이 피해를 증가시킨다.

④ 초여름 감염과 늦여름 감염의 증상이 다르다.

⑤ 감염된 조직에서 수지가 흘러나오지는 않는다.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 염색반응과 영양원 이용 특성으로 동정할 수 있는 병원체는?

 

① 선충

② 세균

③ 곰팡이

④ 바이러스

⑤ 파이토플라스마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 곰팡이의 영양기관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ㄱ. 포자                   ㄴ. 자낭

ㄷ. 버섯                   ㄹ. 균사판

ㅁ. 흡기                   ㅂ. 뿌리꼴균사다발

 

 

① ㄱ - ㄴ - ㄷ

② ㄱ - ㅁ - ㅂ

③ ㄴ - ㄷ - ㄹ

④ ㄷ - ㄹ - ㅁ

⑤ ㄹ - ㅁ - ㅂ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 나무에 발생하는 불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과실에서는 수침상 반점이 생긴다.

② 꽃은 암술머리가 가장 먼저 감염된다.

③ 잎에서는 가장자리에서 증상이 먼저 나타난다.

④ 늦은 봄에 어린잎과 작은 가지 및 꽃이 갑자기 시든다.

⑤ 큰 가지에 형성된 병반으로부터 선단분의 작은 가지로 번져간다.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 나무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철쭉류 떡병은 잎과 꽃눈이 국부적으로 비대해진다.

② 버즘나무 탄저병이 초봄에 발생하면 어린싹이 검게 말라죽는다.

③ 밤나무 가지마름병균이 뿌리를 감염하면 잎이 황변 하며 고사한다.

④ 전나무 잎녹병은 당년생 침엽 뒷면에 담황색을 띤 여름포자퇴를 형성한다.

⑤ 소나무류 잎마름병은 침엽의 윗부분에 황색 반점이 생기고, 점차 띠모양을 형성한다.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 나무병의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장미 모자이크병은 항생제를 엽면살포한다.

② 뽕나무 오갈병 감염목은 벌채 후 훈증한다.

③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은 감염목의 그루터기를 제거한다.

④ 회화나무 녹병은 중간기주인 일본잎갈나무를 제거한다.

⑤ 소나무 시들음병(소나무재선충병)은 살균제를 나무주사한다.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3. 가지와 줄기에 발생하는 나무병의 병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향나무 녹병 - 가지 고사

② 밤나무 줄기마음병 - 줄기 터짐

③ Nectria 궤양병 - 윤문 형태의 궤양

④ 편백, 화백 가지마름병 - 수지 분비

⑤ Scleroderris 궤양병 - 어린 수피에 자갈색 괴저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4. 갈색 테두리를 가진 회백색 병반을 형성하는 탄저병은?

 

① 개암나무 탄저병

② 버즘나무 탄저병

③ 사철나무 탄저병

④ 오동나무 탄저병

⑤ 호두나무 탄저병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5. 병원속의 속(Genus)이 다른 나무병은?

 

① 포플러 갈색무늬병

② 가중나무 갈색무늬병

③ 밤나무 갈색점무늬병

④ 오리나무 갈색무늬병

⑤ 자작나무 갈색무늬병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6. 자낭반이 형성되는 나무병이 아닌 것은?

 

① 타르점무늬병

② 잣나무 잎떨림병

③ 리지나뿌리썩음병

④ Scleroderris 궤양병

⑤ 낙엽송 가지끝마름병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7. 시들음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Verticillium 시들음병과 느릅나무 시들음병의 매개충은 나무좀류이다.

② 느릅나무 시들음병균의 균핵은 토양 내에 존재하다가 뿌리상처를 통해 침입할 수 있다.

Verticillium 시들음병균에 감염된 느릅나무 가지는 변재부 가장자리가 녹색으로 변한다.

④ 광릉긴나무좀은 시들음병균이 신갈나무 수피 아래에 만든 균사매트의 달콤한 냄새에 유인된다.

⑤ 한국 참나무 시들음병균과 미국 참나무 시들음병균은 같은 속(Genus)이지만 종(Species)이 다르다.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8. 다음 특성을 가진 나무 병원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구형 또는 불규칙한 타원형이다.

* 세포벽을 가지지 않고 원형질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 세포질이 있고 리보솜과 핵물질 가닥이 존재한다.

 

① 주로 체관부에서 발견된다.

② 주로 매미충류에 의해 전염된다.

 대추나무 빗자루병균이 해당된다.

④ 페니실린계 항생물질에 감수성이다.

⑤ DAPI를 이용한 형광현미경 기법으로 진단한다.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9. 나무병 진단에 사용되는 병징은?

 

① 궤양

② 균핵

 더뎅이

④ 점무늬

⑤ 암종(혹)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 활엽수의 구멍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세균 또는 곰팡이에 의한 증상이다.

② 나무 생장 저해 효과보다는 미관을 해치는 피해가 더 크다.

 병원균이 이층(떨켜)을 형성하여 조직을 탈락시킨 결과이다.

④ 병원균은 기주식물의 잎 이외에 열매나 가지를 감염하기도 한다.

⑤ 구멍은 아주 작은 것부터 수 mm에 이르는 것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1. 가을 또는 이른 봄에 낙엽을 제거하여 예방할 수 있는 나무병은?

 

① 소나무 혹병

② 철쭉류 떡병

 붉나무 빗자루병

④ 포플러류 모자이크병

⑤ 단풍나무 타르점무늬병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2. 나무줄기 상처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피 절단면에 햇빛을 가려주면 유합조직 형성에 도움이 된다.

② 상처조직 다듬기에 사용하는 도구들은 100% 에탄올에 담가 자주 소독한다.

 상처 주변 수피를 다듬을 때는 잘 드는 칼로 모가 나지 않게 둥글게 도려낸다.

④ 상처에 콜타르, 아스팔트 등을 바르면 목질부의 살아있는 유세포가 피해를 볼 수 있다.

⑤ 물리적 힘에 의해 수피가 벗겨졌을 때는 즉시 제자리에 붙이고 작은 못이나 접착테이프로 고정한다.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3. 다음 나무병의 매개충을 같은 분류군끼리 묶어 놓은 것은?

가. 대추나무 빗자루병

나. 소나무 목재청변병

다. 느릅나무 시들음병

라. 참나무 시들음병

마. 소나무 시들음병(소나무재선충병)

 

① (가), (나), (다,라,마)

② (가), (나,다), (라,마)

 (가), (나,다,라), (마)

④ (가,나), (다,라), (마)

⑤ (가,마), (나), (다,라)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4. 국내에서 큰 피해를 초래한 다음 나무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나무하늘소는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한다.

② 잣나무 털녹병균의 중간기주에 여름포자가 형성된다.

 담배장님노린재가 오동나무 빗자루병균을 매개한다.

④ 포플러류 녹병균의 중간기주는 낙엽송과 현호색류이다.

⑤ 참나무 시들음병은 국내에서는 2004년 처음 발견되었다.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5. 병원체 형태 관찰을 위한 현미경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뿌리혹선충병 - 해부현미경

② 밤나무 줄기마름병 - 광학현미경

 벚나무 번개무늬병 - 형광현미경

④ 뽕나무 오갈병 - 투과전자현미경

⑤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 주사전자현미경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노랑털알락나방

231031 노랑털알락나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