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목병에 관한 처방이 효과적이지 않은 것은?
① 버즘나무 탄저병 - 감염된 낙엽과 가지제거
② 철쭉 떡병 - 감염 부위 제거, 통풍 환경 개선
③ 잣나무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 지상부 피해 침엽과 가지 제거
④ 소나무 시들음병(소나무재선충변) - 살선충제 나무주사, 매개충 방제
⑤ 대추나무 빗자루병 - 항생제(옥시테트라사이클린계) 나무주사, 매개충 방제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 수목병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하여 감염시료의 채취와 병원체의 분리배양이 가능한 병은?
① 대추나무 빗자루병
② 배롱나무 흰가루병
③ 벚나무 번개무늬병
④ 포플러 모자이크병
⑤ 소나무 피목가지마름병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 수목병 감염 시 나타나는 생리기능 장애증상이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① 회양목 그을음병 - 광합성 저해
② 조팝나무 흰가루병 - 양분의 저장 장애
③ 감나무 열매썩음병 - 양분의 저장, 증식장애
④ 소나무 안노섬뿌리썩음병 - 물과 무기양분의 흡수 장애
⑤ 소나무 시들음병(소나무재선충병) - 물과 무기양분의 이동 장애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 병원체의 유전물질이 식물에 전이되는 형질전환 현상에 의해 이상비대나 이상증식이
나타나는 병은?
① 철쭉 떡병
② 소나무 혹병
③ 밤나무 뿌리혹병
④ 소나무 줄기녹병
⑤ 오동나무 뿌리혹선충병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 전자현미경으로만 병원체의 형태를 관찰할 수 있는 수목병들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 ㄱ. 뽕나무 오갈병 ㄴ. 버즘나무 탄저병 ㄷ. 장미 모자이크병 ㄹ. 버드나무 잎녹병 ㅁ. 벚나무 빗자루병 ㅂ. 붉나무 빗자루병 ㅅ. 동백나무 겹둥근무늬병 |
① ㄱ, ㄷ, ㅂ
② ㄱ, ㄹ, ㅅ
③ ㄴ, ㄷ, ㅁ
④ ㄴ, ㅂ, ㅅ
⑤ ㄷ, ㅂ, ㅅ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 식물에 기생하는 바이러스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감염 후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가 만들어지는 데는 대략 10시간이 소요된다.
② 바이러스 입자는 인접세포와 체관에서 빠르게 이동한 후 물관에 존재한다.
③ 세포 내 침입 바이러스는 외피에서 핵산이 분리되어 상보 RNA 가닥을 만든다.
④ 바이러스의 종류와 기주에 따라서 얼룩, 줄무늬, 엽맥투명, 위축, 오갈, 황화 등의 병징이 나타난다.
⑤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영양번식기관, 종자, 꽃가루, 새삼, 곤충, 응애, 선충, 균류 등에 의하여
전염될 수 있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7. 향나무 녹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감염된 장미과 식물의 잎과 열매에는 작은 반점이 다수 형성된다.
② 병원균은 향나무와 장미과 식물을 기주교대하는 이종기생균이다.
③ 향나무에는 겨울포자와 담자포자, 장미과에는 녹병정자, 녹포자, 여름포자가 형성된다.
④ 향나무와 노간주나무의 줄기와 가지가 말라 생장이 둔화되고 심하면 고사한다.
⑤ 방제방법으로 향나무와 장미과 식물을 2km 이상 거리를 두고 식재하는 방법과 적용 살균제를 살포하는
방법이 있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 수목병 진단 시 생물적 원인(기생성)과 비생물적 원인(비기생성)에 의한 병발생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항목 | 생물적 | 비생물적 | |
| ① | 발병면적 | 제한적 | 넓음 |
| ② | 병원체 | 있음 | 없음 |
| ③ | 종특이성 | 높음 | 낮음 |
| ④ | 병 진전도 | 다양 | 유사 |
| ⑤ | 발병부위 | 수목 전체 | 수목 일부 |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 수목에 기생하는 종자식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생성 종자식물에는 새삼, 마녀풀, 더부살이, 칡 등이 있다.
② 흡기라는 특이 구조체를 만들어 기주 수목에서 수분과 양분을 흡수한다.
③ 진정겨우살이에 감염된 기주는 생장이 위축되고 가지 변형이 심하면 고사할 수 있다.
④ 소나무(난쟁이)겨우살이는 암,수꽃이 화분수정하고 장과를 형성하여 증식한다.
⑤ 겨우살이에는 침엽수에 기생하는 소나무(난쟁이)겨우살이, 활엽수에 기생하는 진정겨우살이가 있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 장미 검은무늬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감염된 잎은 조기 낙엽되고 심한 경우 모두 떨어지기도 한다.
② 장마 후에 피해가 심하나 봄비가 잦으면 5~6월에도 피해가 발생한다.
③ 병원균은 감염된 잎에서 자낭구로 월동하고 봄에 자낭포자가 1차 전염원이 된다.
④ 병든 낙엽은 모아 태우거나 땅속에 묻고, 5월경부터 10일 간격으로 적용 살균제를 3~4회 살포한다.
⑤ 잎에 암갈색~흑갈색의 병반과 검은색의 분생포자층 및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곤충이나 빗물에 의해
전반된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 수목 기생체 중 세포벽이 없는 것으로 나열된 것은?
| ㄱ. 겨우살이 ㄴ. 소나무재선충 ㄷ. 대추나무빗자루병균 ㄹ. 쥐똥나무흰가루병균 ㅁ. 밤나무혹병(근두암종병)균 ㅂ. 벚나무 번개무늬병 병원체 |
① ㄱ, ㄴ, ㅁ
② ㄱ, ㄷ, ㅂ
③ ㄴ, ㄷ, ㅁ
④ ㄴ, ㄷ, ㅂ
⑤ ㄷ, ㄹ, ㅂ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 수목 병원체의 동정 및 병 진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분리된 선충에 구침이 없으면 외부기생성 식물기생선충이다.
② 세균은 세포막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함으로써 동정할 수 있다.
③ 향나무녹병균의 담자포자는 200배율의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없다.
④ 파이토플라스마는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으로 동정할 수 없다.
⑤ 바이러스에 감염된 잎에서 DNA를 추출하여 면역확산법으로 진단한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3. 수목병의 진단에 사용되는 재료나 방법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표면살균에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또는 알코올을 주로 사용한다.
② 광학현미경 관찰 시 일반적으로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순차적으로 관찰한다.
③ 병원균 분리에 사용되는 물한천배지는 물과 한천으로 만든 배지이다.
④ 식물 내의 바이러스 입자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한다.
⑤ 곰팡이 포자형성이 잘 되지 않는 경우 근자외선이나 형광등을 사용하여 포자형성을 유도한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4. 수목의 흰가루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단풍나무의 흰가루병이 발생하면 발병초기에 집중 방제를 한다.
② 쥐똥나무에 발생하면 잎이 떨어지고 관상가치가 크게 떨어진다.
③ 목련류 흰가루병균은 식물의 표피세포 속에 흡기를 뻗어 양분을 흡수한다.
④ 배롱나무 개화기에 발생하면 잎을 회백색으로 뒤덮는데 대부분 자낭포자와 균사이다.
⑤ 장미의 생육후기에 날씨가 서늘해지면 자낭과를 형성하고 자낭에 8개의 자낭포자를 만든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5. 병발생과 병원체 전반에 곤충이 관여하지 않는 수목병이 나열된 것은?
| ㄱ. 목재청변 ㄴ. 라일락 그을음병 ㄷ. 밤나무 흰가루병 ㄹ. 참나무 시들음병 ㅁ. 명자나무 불마름병 ㅂ. 오동나무 빗자루병 ㅅ. 단풍나무 타르점무늬병 ㅇ. 소나무 리지나뿌리썩음병 ㅈ. 소나무 시들음병(소나무재선충병) |
① ㄱ, ㄴ, ㄷ
② ㄱ, ㅂ, ㅈ
③ ㄷ, ㅁ, ㅅ
④ ㄷ, ㅅ, ㅇ
⑤ ㄹ, ㅁ, ㅈ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6. 소나무 가지끝마름병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피해를 입은 새 가지와 침엽은 수지에 젖어 있고 수지가 흐른다.
② 명나방류나 얼룩나방류의 유충에 의해 고사하는 증상과 비슷하다.
③ 말라죽은 침엽의 표피를 뚫고 나온 검은 자낭각이 중요한 표징이다.
④ 감염된 리기다소나무의 어린 침엽은 아래쪽 일부가 볏짚색으로 퇴색된다.
⑤ 새 가지의 침엽이 짧아지면서 갈색 내지 회갈색으로 변하고 말라죽은 어린 가지는 구부러지면서
밑으로 처진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7. 수목병의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티오파네이트메틸은 상처도포제로 사용된다.
② 나무주사는 이미 발생한 병의 치료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③ 잣나무 털녹병 방제를 위해 매발톱나무를 제거한다.
④ 보르도액은 방제효과의 지속시간이 짧으나 침투이행성이 뛰어나다.
⑤ 공동 내의 부후부를 제거할 때는 변색부만 제거하되 건전부는 도려내면 안 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8. 수목의 뿌리에 발생하는 병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어린 묘목에서는 뿌리혹병이 많이 발생한다.
② 뿌리썩음병을 일으키는 주요 병원균은 세균이다.
③ 리지나뿌리썩음병균은 담자균문에 속하고 산성토양에서 피해가 심하다.
④ 유묘기 모잘록병의 주요 병원균은 Pythium 속과 Rhizoctonia solani 등이 있다.
⑤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균은 자낭균문에 속하며 뿌리꼴균사다발을 형성한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9. 한국에서 발생한 참나무 시들음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매개충은 천공성 해충인 광릉긴나무좀이다.
② 주요 피해 수종은 물참나무와 졸참나무이다.
③ 병원균은 자낭균으로서 Raffaelea quercus-mongolicae이다.
④ 감염된 나무는 물관부의 수분흐름을 방해하여 나무 전체가 시든다.
⑤ 고사한 나무는 벌채 후 일정 크기로 잘라 쌓은 후 살충제로 훈증처리하여 매개충을 방제한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 세계 3대 수목병 중 하나인 밤나무줄기마름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지나 줄기에 황갈색~적갈색의 병반을 형성한다.
② 병원균의 자좌는 수피 밑에 플라스크 모양의 자낭각을 형성한다.
③ 저병원성 균주는 dsDNA 바이러스를 가지며 생물적 방제에 이용한다.
④ 병원균은 Cryphonectria parasitica로 북아메리카지역에서 큰 피해를 주었다.
⑤ 일본 및 중국 밤나무 종은 상대적으로 저항성이고, 미국과 유럽 종은 상대적으로 감수성이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1. 수목병과 병원체를 매개하는 곤충과의 연결이 옳은 것은?
① 뽕나무 오갈병 - 뽕나무하늘소
② 참나무 시들음병 - 붉은목나무좀
③ 느릅나무 시들음병 - 썩덩나무노린재
④ 붉나무 빗자루병 - 모무늬(마름무늬)매미충
⑤ 소나무 시들음병(소나무재선충병) - 알락하늘소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2. 칠엽수 얼룩무늬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발생은 봄부터 장마철까지 지속되나, 8~9월에 병세가 가장 심하다.
② 진균병으로 병원균은 자낭균문에 속하며, 자낭포자와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③ 땅에 떨어진 병든 잎을 모아 태우거나 땅속에 묻어 월동 전염원을 제거한다.
④ 묘포는 통풍이 잘되도록 밀식을 피하고, 빗물 등의 물기를 빠르게 마르도록 한다.
⑤ 어린 잎에 물집 모양의 반점이 생기고 진전되면 병반의 모양과 크기가 일정하고 뚜렷해진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3. 수목병을 일으키는 원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목병의 원인에는 전염성과 비전염성 요인이 있다.
② 전염성 수목병의 원인은 균류, 세균, 바이러스, 선충, 기생성 종자식물 등이 있다.
③ 벚나무 갈색무늬구멍병의 원인은 Mycosphaerella 속의 진균이다.
④ 호두나무 갈색썩음병의 원인은 Pseudomonas 속의 세균이다.
⑤ 오동나무 탄저병의 원인은 Colletotrichum 속의 진균이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4. 수목병리학의 역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독일의 Robert hartig는 수목병리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② 식물학의 원조로 불리는 Theophrastus가 올리브나무 병을 기록하였다.
③ 실학자인 서유구가 배나무 적성병과 향나무의 기주교대현상을 기록하였다.
④ 미국의 Alex shigo가 CODIT모델을 개발하여 수목외과 수술방법을 제시하였다.
⑤ 한국 발생 소나무 줄기녹병은 Takaki Goroku가 경기도 가평군에서 처음으로 발견하여 보고하였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5. 포플러 잎녹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병원균은 Melampsora속으로 일본잎갈나무가 중간기주이다.
② 봄부터 여름까지 병원균의 침입이 이루어지며 나무를 빠르게 고사시킨다.
③ 한국에는 병원균이 2종 분포하며, 그중 Melampsora magnusiana에 의하여 해마다 대발생한다.
④ 포플러 잎에서 월동한 겨울포자가 발아하여 형성된 자낭포자가 중간기주를 침해하면 병환이 완성된다.
⑤ 4~5월에 감염된 잎 표면에 퇴색한 황색 병반이 나타나며, 잎 뒷면에는 겨울포자퇴와 겨울포자가
형성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30614 때죽납작진딧물
| 나무의사 7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생리학(51~75) (0) | 2024.12.20 |
|---|---|
| 나무의사 7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해충학(26~50) (1) | 2024.12.19 |
| 나무의사 6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관리학(101~140) (4) | 2024.12.17 |
| 나무의사 6회 필기 기출문제 산림토양학(76~100) (0) | 2024.12.17 |
| 나무의사 6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생리학(51~75) (2) | 2024.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