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곰팡이 병원균의 분류균이 같은 수목병으로 나열한 것은?
| ㄱ. 소나무 혹병 ㄴ. 편백 가지마름병 ㄷ. 철쭉류 떡병 ㄹ. 배롱나무 흰가루병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ㄷ, ㄹ
정답 -> ②
* 수목의학 p156 참조
담자균에 의한 수목병으로 녹병(소나무 혹병),떡병, 뿌리썩음병, 고약병, 깜부기병, 목재부후 등이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7. Fusarium속 병원균에 의해 발생하는 수목병으로만 나열한 것은?
| ㄱ. 칠엽수 얼룩무늬병 ㄴ. 소나무류 피목가지마름병 ㄷ. 소나무류 수지궤양병 ㄹ. 소나무류 모잘록병 ㅁ. 오리나무 갈색무늬병 ㅂ. 밤나무 가지마름병 |
① ㄱ, ㄷ
② ㄴ, ㅁ
③ ㄷ, ㄹ
④ ㄹ, ㅁ
⑤ ㄹ, ㅂ
정답 -> ③
* 칠엽수 얼룩무늬병 - Guignardia
소나무류 피목가지마름병 - Cenangium
오리나무 갈색무늬병 - Septoria
밤나무 가지마름병 - Botryosphaeria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8. 지의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아황산가스에 민감하다.
② 수피에 서식하면서 수목으로부터 양분을 얻는다.
③ 외생성 지의류의 대부분은 남조류와 공생한다.
④ 균류와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엽상체를 형성한다.
⑤ 형태는 고착형, 엽형, 수지형의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정답 -> ②
* 향문사 수목병리학 p249~250 참조
지의류는 수목 줄기나 가지의 수피에 서식하면서 미관을 해치지만 실제 수목에서 양분을 취하거나 피해를 입히지는 않고 오히려 산림 내 질소공급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9. 수목병의 생물적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을 벌채 후 훈증한다.
② 포플러 잎녹병 방제를 위해 저항성품종을 육종한다.
③ 항생제를 수간주입하여 대추나무 빗자루병을 방제한다.
④ 잣나무 털녹병 방제를 위해 중간기주인 송이풀을 제거한다.
⑤ 밤나무 줄기마름병 방제를 위해 병원균의 저병원성 균주를 이용한다.
정답 -> ⑤
* 향문사 삼고 산림보호학 p117~122 참조
1번은 육림작업에 의한 방제
2번은 육종학적 방제
3번은 화학적 방제
4번은 전염원 제거 및 전염경로 차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 소나무 가지끝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새 가지와 침엽은 수지에 젖어 있다.
② 병원균은 Septobasidium bogoriense이다.
③ 수피를 벗기면 적갈색으로 변한 병든 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
④ 6월부터 새 가지의 침엽이 짧아지면서 갈색 내지 회갈색으로 변한다.
⑤ 침엽 및 어린 가지의 병든 부위에는 구형 내지 편구형의 분생포자각이 형성된다.
정답 -> ②
* 향문사 수목병리학 p129~130 참조
소나무 가지끝마름병은 Sphaeropsis sapines, Diplodia pinea
회색, 갈색 고약병은 Septobasidium bogoriense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24.05.12. 작약 흰가루병
| 나무의사 5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해충학 일(26~30). (1) | 2024.05.18 |
|---|---|
| 나무의사 5회 기출문제 수목병리학 오(21~25). (0) | 2024.05.16 |
| 나무의사 5회 기출문제 수목병리학 삼(11~15). (0) | 2024.05.13 |
| 나무의사 5회 기출문제 수목병리학 이(6~10). (0) | 2024.05.12 |
| 나무의사 5회 기출문제 - 수목병리학 일(1~5) (0) | 2024.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