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자주날개무늬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게 나열한 것은?
| ㄱ. 다범성 병해 ㄴ. 뿌리꼴균사다발 형성 ㄷ. 심재가 먼저 썩고 나중에 변재가 썩음 ㄹ. 균사망이 발달하여 자갈색의 헝겊같은 피막 형성 ㅁ. 6, 7월경에 균사층의 자낭포자가 많이 형성되어 흰가루처럼 보임 |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ㄹ, ㅁ
정답 -> ②
* 향문사 수목병리학 p 107~115 참조
- 뿌리꼴균사다발 형성은 아밀라리아 뿌리썩음병
- 심재가 먼저 썩고 나중에 변재가 썩는 현상은 아까시재목버섯에 의한 줄기밑둥썩음병
- 6,7월경에 균사층의 담자포자가 많이 형성되어 흰가루처럼 보인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2. 다음 특징과 관련된 병원균이 일으키는 수목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포자를 형성하고 격벽이 없는 다핵균사를 가진다. * 세포벽의 주성분은 셀룰로오스와 글루칸이고, 키틴을 함유하지 않는다. * 유주포자는 편모를 가진다. |
① 참나무 급사병의 병원균이 속한다.
② Rhizoctonia solani는 묘목에 피해를 준다.
③ 파이토프토라뿌리썩음병은 병원균우점형이다.
④ 밤나무 수피 표면이 젖어 있고, 검은색의 액체가 흘러나온다.
⑤ 밤나무 잉크병 병원균의 장란기 표면이 울퉁불퉁하다.
정답 -> ②
* 향문사 수목병리학 p132 참조
- Rhizoctonia solani는 모잘록병.(p 103)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3. 병 발생에 관여하는 환경 조건 개선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밤나무 줄기마름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배수를 개선한다.
② 오동나무 줄기마름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간벌을 강하게 한다.
③ 소나무 피목가지마름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덩굴류를 제거한다.
④ 일본잎갈나무 묘목은 뿌리썩음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생장 개시 전에 식재한다.
⑤ 미분해 유기물이 많은 임지에서는 자주날개무늬병 피해가 심하므로 석회를 처리한다.
정답 -> ②
* 향문사 수목병리학 p120 참조
- 오동나무 줄기마름병은 오동나무 단순림의 조성을 피하고 오리나무등과 혼식하면 예방효과가 있다.- 가지치기 후에 생긴 상처, 죽은 잔가지 및 얼어터진 상처등을 통해 병원균이 침입하여 발생하므로 강한 간벌을 피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4. 리지나 뿌리썩음병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ㄱ. 병원균의 담자포자는 수목 뿌리 근처의 온도가 45℃이면 발아한다. ㄴ. 초기 병징은 땅가의 잔뿌리가 흑갈색으로 부패하고, 점차 굵은 뿌리로 확대된다. ㄷ. 산성토양에서 피해가 심하므로 석회로 토양을 중화시키면 발병이 감소한다. ㄹ. 뿌리의 피층이나 물관부를 침입하며, 감염된 세포는 수지로 가득 차게 된다.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정답 -> ③
* 향문사 수목병리학 p106 참조
- 리지나 뿌리썩음병은 자낭포자에 의하여 전염되는 토양전염성 병이다.
- 뿌리의 피층이나 체관부(사부)를 침입하며, 감염된 세포는 수지로 가득 차게 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5. 뿌리썩이 선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성충은 감염된 뿌리 내에 산란한다.
② Meloidogyne속 선충으로 고착성 내부기생성 선충이다.
③ 유충과 성충은 주로 뿌리의 피층조직 안을 이동하면서 양분을 흡수한다.
④ 선충의 침입 부위로 Fusarium 등 토양 병원미생물이 쉽게 침입하게 된다.
⑤ Radopholus속 선충의 감염 부위에 공간이 생겨 뿌리가 부풀어 오르고 표피가 갈라진다.
정답 -> ②
* 향문사 수목병리학 p219~220 참조
- 뿌리혹 선충은 Meloidogyne속 선충으로 고착성 내부기생성 선충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23.06.07 수원화성 벚나무 지의류
| 나무의사 5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해충학 이(31~35). (0) | 2024.05.21 |
|---|---|
| 나무의사 5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해충학 일(26~30). (1) | 2024.05.18 |
| 나무의사 5회 기출문제 수목병리학 사(16~20). (0) | 2024.05.15 |
| 나무의사 5회 기출문제 수목병리학 삼(11~15). (0) | 2024.05.13 |
| 나무의사 5회 기출문제 수목병리학 이(6~10). (0) | 2024.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