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의사/나무의사 기출문제

나무의사 5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관리학 일(101~110)

반응형

101. 수목 식재지 토양의 답압피해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토양의 용적밀도가 낮아진다.

② 토양 내 공극이 좁아서 배수가 불량해진다.

③ 토양 내 산소 부족으로 유해물질이 생성된다.

④ 토양의 투수성이 낮아져 표토가 유실된다.

⑤ 토양 내 공극이 좁아져 통기성이 불량해진다.

 

 

 

답 -> 

 

 

 

* 수목의학  p290 참조

-  토양은 공극이 많을수록 용적비중이 낮아지고, 통기성이 좋고 배수가 잘되어 뿌리생장에 유리하다.

그러므로 답압피해는 용적밀도가 높아진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2. 수피 상처치료 방법 중 피해 부위가 위아래로 넓을 때 사용하는 교접방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교접의 적기는 생장이 왕성한 여름이다.

② 접수는 실제 상처의 간격을 측정하여 같은 크기로 조제해야 한다.

③ 교접작업 시 사용하는 접수는 극성에 따른 생장의 차이가 크지 않다.

④ 교접은 잎에서 만든 탄수화물이 뿌리 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드는 것이다.

⑤ 교접작업에서 접수에 이미 싹이 나와 있으면 가지의 활력을 위하여 새순을 제거하지 않는다.

 

 

 

답 -> 

 

 

 

* 수목의학  p338 참조

- 교접은 피해부위의 위아래 간격이 넓어 수피이식으로 해결할 수 없을 때 접목을 이용해 수피를 서로 연결하는 기술이다.

- 교접의 적기는 이른봄이다.

- 접수는 약간 아치 형태의 휜 상태로 홈에 끼워 맞춰지도록 처음부터 실제 상처의 간격보다 더 길게 조제해야 한다.

- 접목을 실시할 때 꼭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이 접수의 위아래를 구분하는 극성이다.

- 접수에 싹이 나와있으면 새순을 제거한 가지를 사용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3. 수목관리의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종 선정은 적지적수에 기반을 둔다.

② 수목관리는 장기간, 낮은 강도로 진행한다.

③ 수목관리는 일반 개념을 특정 유전자형에 적용하지 않는다.

④ 수목의 건강과 위해는 서로 관계가 있으나 일치하지는 않는다.

⑤ 수목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생장하기 때문에 수목관리가 필요하다.

 

 

 

정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4. 가지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가지 밑에 생기는 불룩한 조직으로, 목질부를 보호하기 위한

화학적 보호층을 가지고 있는 조직은?

 

① 맹아

② 이층

③ 지륭

④ 형성층

⑤ 지피융기선

 

 

 

답 -> 

 

 

 

* 맹아 : 나무줄기의 밑동 부분에서 나온 새싹.

- 이층 : 낙엽이 질 무렵 잎자루와 가지가 붙은 곳에 생기는 특수한 세포층

- 형성층 : 뿌리와 줄기에 위치한 주요 분열조직

- 지피융기선 : 나무의 두 가지가 서로 맞닿아서 생긴 주름살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5. 방풍용 수목의 기준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천근성이고 지엽이 치밀하지 않은 것이 좋다.

② 낙엽활엽수는 상록침엽수에 비해 바람에 약하다.

③ 내풍력은 수관 폭, 수관 길이, 수고 등에 좌우된다.

④ 수목에 미치는 풍압은 풍속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⑤ 척박지에서 자란 수목은 근계발달이 양호해 바람에 대한 저항성이 적다.

 

 

 

답 -> 

 

 

 

* 수목의학 p267참조

- 강풍에 의한 피해는 활엽수보다 침엽수에서 더 크며, 천근성은 바람에 약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6. 수목 진료와 관련된 용어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상처유합 : 상처 위로 유합조직과 새살을 형성하는 과정

② 자연표적전정 : 지륭과 지피융기선의 각도만큼 이격 하여 가지를 절단하는 가지치기 이론

③ 두목전정 : 나무의 주간과 골격지 등을 짧게 남기고 전봇대 모양으로 잘라 맹아지만 나오게 하는 전정

④ 토양관주 : 약제주입기 등을 이용하여 양액을 토양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약제처리나 관수에 이용하는 방법

⑤ 갈색부후균 : 목질부의 주성분인 리그닌과 헤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등 모든 성분을 분해하여 이용하는

곰팡이

 

 

 

답 -> 

 

 

 

* 수목의학 p 189 참조

- 갈색부후균은 셀룰로오스를 분해하지만 리그닌을 분해하지 못해 목재가 최종적으로 갈색을 띤다.

- 백색부후균은 목재의 세포벽을 구성하고 있는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을 모두 분해하여 목재가 최종적으로 백색을 띤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7. 수목 외과수술의 순서로 맞는 것은?

ㄱ. 방수처리                    ㄴ. 살균처리

ㄷ. 방부처리                    ㄹ. 공동충전

ㅁ. 인공수피처리             ㅂ. 살충처리

ㅅ. 부후부제거

 

① ㅅ → ㄴ → ㅂ → ㄷ → ㄹ → ㄱ → ㅁ

② ㅂ → ㅅ → ㄷ → ㄴ → ㄹ → ㄱ → ㅁ

③ ㅂ → ㅅ → ㄷ → ㄹ → ㄱ → ㄴ → ㅁ

 ㅅ → ㄴ → ㄷ → ㄹ → ㄱ → ㅁ → ㅂ

 ㅅ → ㄷ → ㅂ → ㄴ → ㄹ → ㄱ → ㅁ

 

 

 

답 -> 

 

 

 

* 수목의학 p 341 참조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8. 수목의 이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상대적으로 낙엽수보다 상록수, 관목보다 교목의 이식이 쉽다.

② 이식이 잘되는 나무로 은행나무, 광나무, 느릅나무, 배롱나무 등이 있다.

③ 이식 방법은 뿌리 상태에 따라 나근법, 근분법, 동토법, 기계법 등으로 나눈다.

④ 온대지방 수목의 이식 적기는 휴면하는 늦가을부터 새싹이 나오는 이른 봄까지이다.

⑤ 대경목 이식 시 2년 전부터 수간직경의 4배 되는 곳에 원형구덩이를 파고 뿌리돌림해 

세근이 발달하도록 유도한다.

 

 

 

정답 -> 

 

 

 

* 낙엽수, 관목이 상대적으로 이식이 쉽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9. 식재 후 수목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식물의 다량원소로서 질소, 인, 칼륨, 칼슘, 붕소, 황 등이 있다.

② 시비방법으로 표토시비법, 토양 내 시비법, 엽면시비법, 수간주사법 등이 있다.

③ 토양수분은 결합수, 모세관수, 자유수로 분류하는데 수목은 주로 모세관수를 이용한다.

④ 이식 후 지주목의 설치는 수고생장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뿌리 조직의 활착에 도움을 준다.

⑤ 이식 후 멀칭은 토양 수분과 온도 조절, 토양의 비옥도 증진, 잡초의 발생 억제 등 효과가 있다.

 

 

 

답 -> 

 

 

 

* 수목의학 p283  참조

- 붕소는 미량원소에 속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0. 식재수목의 선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만성적 대기오염의 피해는 침엽수보다도 활엽수가 높게 나타난다.

② 동백나무, 녹나무, 먼나무, 후박나무 등은 상록성으로 내한성이 약하다.

③ 침엽수는 대개 상록성이지만 일본잎갈나무, 낙우송, 메타세콰이아는 낙엽성이다.

④ 산림청 가로수 관리규정에 계수나무, 느티나무, 노각나무, 쉬나무 등은 시가지에 권장되는 것이다.

⑤ 어떤 개체가 변종으로서 다른 개체들과 다른 독특한 외형의 특징을 가지는 경우 종자로 번식시키면

그 특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없다.

 

 

 

답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40516. 이팝나무혹응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