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균 : Erysiphe australiana)
- 자낭균아문 각균강 흰가루병균목에 속하는데 자낭구가 자낭각 모양으로 형성
- 흰가루는 분생포자와 균사
- 모두 식물병원균이며, 절대기생체이다.
- 전생육기를 통해 발생하나, 수종에 따라 발생시기가 다르다.
- 대개 6~7월부터 발생하여 장마철 이후 급격히 심해진다.
- 잎에 발생하지만 수종에 따라서는 어린줄기와 열매에도 발생한다.
- 병원균의 균사체는 주로 기주 표면에 존재하므로 광합성을 방해하며, 균사 일부가 표피를 뚫고 침입하여 기주조직에 흡기를 형성하여 양분을 탈취한다.
- 이때 감염된 세포는 죽지 않으며 계속해서 양분을 탈취당한다는 사실은 이 병원균이 절대기생체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 대부분 자낭구로 월동하나 무성세대로 월동하는 경우도 있다.
< 방제법 >
- 병든 낙엽을 모아서 태우거나 땅속에 묻음으로써 전염원을 차단하는것이 필수적이다.
- 늦가을이나 이른봄에 자낭과가 붙은 어린가지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 통기불량, 일조부족, 질소과다등은 발병유인이 된다.
< 흰가루병 종류 >
Erysiphe(옛이름 Uncinula)
- 호두나무, 오리나무, 개암나무, 밤나무, 참나무, 매자나무, 아까시나무, 옻나무, 물푸레나무, 사철나무, 인동, 꽃댕강나무, 꽃개오동
- 쥐똥나무(남부지방에 심은 광나무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 양버즘나무(가로수중 유일한 문제),
- 단풍나무(중국단푸나무는 햇빛이 잘들고바람이 잘통해도 심하게 발생한다. 한번 발생하면 어린가지에서 월동하기 때문에 매년반드시 발생한다.)
- 배롱나무(흰가루병 중 가장 큰 병해)
Phyllactinia- 뒷면에 발생, 가중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오리나무, 진달래, 철쭉
Podosphaera - 장미(해당화와 생열귀에 심하게 발생),
조팝나무(5월부터 발생하므로 다른 수종에 비해 일찍 발견된다), 벚나무
Sawadaea - 모감주, 자목련, 단풍나무
Cystotheca – 참나무, 가시나무(자줏빛곰팡이병 – 뒷면흰가루병이라고도 부름)
Pseudoidium - 수국
Sphaerotheca – 수박, 장미, 해당화
Microphoera - 수수꽃다리
※ 출처 : 향문사 신고 수목병리학
무턱대고 수목병탐구 사. 느티나무 흰별무늬병 (12) | 2025.09.28 |
---|---|
무턱대고 수목병탐구 삼. 단풍나무 타르점무늬병 (59) | 2025.02.16 |
무턱대고 수목병탐구 이. 산수유 두창병 (42) | 2025.02.09 |
무턱대고 수목병탐구 일. 철쭉떡병 (33)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