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 도시숲 1ha에 질소성분 함량이 46%인 요소비료 200kg를 시비할 경우, 공급될 질소량(kg)은?
① 46
② 92
③ 146
④ 192
⑤ 200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77. C/N비(탄질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생톱밥은 분뇨에 비하여 C/N비가 크다.
② 식물의 C/N비는 생육 기간 중 변화될 수 있다.
③ 낙엽의 C함량 50%, N 함량 0.5%일 때 C/N비는 86이다.
④ C/N비가 큰 유기물은 작은 유기물보다 분해속도가 느리다.
⑤ 일반적으로 C/N비가 30보다 높은 유기물을 토양에 가하면 식물은 일시적 질소기아
현상을 나타낸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78. 인(P)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핵산과 인지질 등의 구성요소이다.
② 수목 잎의 인 함량은 N나 K보다 낮다.
③ 인산의 유실은 토사유출과 동반하여 일어날 수 있다.
④ 알칼리성 토양에서 인은 Fe, Al등과 결합하여 불용화된다.
⑤ 식물 중 인의 기능은 광합성을 통하여 얻은 에너지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것이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79. 다음 표에서 ㉡,㉣,㉥에 알맞은 특성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구분 | 모래 | 미사 | 점토 |
유기물 분해 속도 | ㉠ | 중간 | ㉡ |
pH 완충 능력 | ㉢ | 중간 | ㉣ |
양분 저장 능력 | ㉤ | 중간 | ㉥ |
㉡ ㉣ ㉥
① 느림, 낮음, 높음
② 느림, 높음, 높음
③ 빠름, 낮음, 높음
④ 빠름, 높음, 낮음
⑤ 빠름, 높음, 높음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0. 도시공원 내 산성토양 개량용 석회물질의 시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석회요구량은 필요한 석회량을 Ca(OH)₂로 계산하여 나타낸 값이다.
② 개량에 사용되는 석회물질은 토양 교질의 Al과 직접 반응한다.
③ 유기물 함량이 높은 토양은 낮은 토양보다 석회요구량이 더 많다.
④ 동일한 양의 석회를 시용할 때는 입자가 고운 석회물질의 반응이 더 빠르다.
⑤ 점토 함량이 높은 토양은 모래 함량이 높은 토양보다 석회요구량이 더 많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1. 토양의 점토광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2:1형 점토광물로 장석, 운모 등이 있다.
② 비규산염 2차 광물로 AlOOH, FeOOH 등이 있다.
③ 비팽창형 점토광물로 kaolinite, chlorite 등이 있다.
④ Si와 O로 이루어진 규산염광물의 기본구조는 규소사면체이다.
⑤ 비결정형 점토광물인 allophane은 화산지대 토양의 주요 구성 물질이지만 일반토양의 점토에도
존재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2. 토양용액에 존재하는 다음 이온 중 일반적으로 농도가 가장 낮은 것은?
① K+
② Ca²+
③ Mg²+
④ SO₄²-
⑤ H₂PO₄-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3. 토양침식성인자(soil erodibility factor) K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K 값의 범위는 0~0.1이다.
② K 값이 0.04보다 큰 토양은 쉽게 침식된다.
③ 토양이 가진 본래의 침식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④ K 값은 풍력의 단위침식능력에 의한 유실량을 나타낸다.
⑤ 토양 구조의 안정성은 K값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특성이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4. 토양미생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Frankia속은 오리나무와 공생한다.
② 조류(algae)는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엽록소를 가지고 있다.
③ Achromobacter속을 식물에 접종하면 질소 고정력이 증가한다.
④ Azotobacter속, Clostridium속 등은 단생(독립)질소고정균이다.
⑤ Nitrosomonas속, Nitrobacter속 등은 질소화합물을 산화하여 에너지를 얻는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5. 석회암 등을 모재로 하여 생성된 토양으로 Ca과 Mg 함량이 높은 산림토양군은?
① 갈색산림토양군
② 암적색산림토양군
③ 적황색산림토양군
④ 화산회산림토양군
⑤ 회갈색산림토양군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6. 토양의 수분퍼텐셜에 관한 다음 설명에서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 비가 오거나 관수 후 대공극에 채워진 과잉 수분을 제거하는데 ( ㉠ ) 퍼텐셜이 작용한다. · 토양 표면에 흡착되는 부착력과 토양입자 사이의 모세관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힘 때문에 ( ㉡ ) 퍼텐셜이 생성된다. · 주로 수면 이하에서 상부의 물 무게에 의해 ( ㉢ ) 퍼텐셜이 생성된다. · 토양 용액 중에 존재하는 이온이나 용질의 농도 차이로 ( ㉣ ) 퍼텐셜이 발생한다. |
㉠ ㉡ ㉢ ㉣
① 매트릭 중력 삼투 압력
② 매트릭 중력 압력 삼투
③ 삼투 매트릭 중력 압력
④ 중력 매트릭 압력 삼투
⑤ 중력 삼투 압력 매트릭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7. 매립지의 알칼리성 토양을 개량하는데 적합한 토양개량제는?
① 탄산칼슘(CaCO₃)
② 황산칼슘(CaSO₄)
③ 수산화칼슘[Ca(OH)₂]
④ 탄산마그네슘(MgCO₃)
⑤ 탄산칼슘마그네슘[CaMg(CO₃)₂]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8. 수목 시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미량원소 결핍은 보통 한 성분에 의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② 양분 결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잎분석이다.
③ 질소가 결핍되면 어린 잎과 새순에서 먼저 부족현상이 나타난다.
④ 양분 공급량에 따라 생체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수점감의 법칙이라 한다.
⑤ 경사지에 위치하는 어린 수목에 시비할 때는 양쪽 수관 끝에 측방시비하는 것이 좋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필수원소가 수목 내에서 일으키는 생리작용은?
· 결핍시 침엽수의 잎끝이 괴사하거나 갈색으로 변하고 잎 중간에 황색띠가 나타나는 증상을 보인다. · 활엽수에서는 담녹색 잎맥과 잎맥주위가 담황색으로 변하는 결핍증상을 보인다. |
① 과산화물 제거
② 단백질의 구성성분
③ 세포막의 기능 유지
④ ATP의 기능 활성화
⑤ 공변세포의 팽압 조절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0.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 부식집적작용 중 분해가 양호한 유기물은 ( ㉠ )이다. · 침엽수 등의 식생에 의하여 공급되는 유기물이 토양미생물의 활동 부족으로 일부분만 분해된 것은 ( ㉡ )이다. · 그 중간단계의 특성을 보이는 유기물은 ( ㉢ )이다. |
㉠ ㉡ ㉢
① moder mull mor
② mor moder mull
③ mor mull moder
④ mull mor moder
⑤ mull moder mor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1. 산불 피해지의 용적밀도가 미피해지에 비해 높아지는 이유가 아닌 것은?
① 토양입단의 증가
② 세근 점유 공간의 감소
③ 유기물층 소실에 따른 부식 유입의 감소
④ 침식에 의한 유기물 및 세립질 토양 입자의 유실
⑤ 토양 소동물의 감소로 인한 토양 내 이동 공간의 축소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2. <보기>에서 토양 내 H+발생과 소비에 관한 옳은 설명만을 고른 것은?
ㄱ. 공중질소의 고정효소는 H+을 발생시킨다. ㄴ. 이산화탄소가 물에 용해되어 H+을 발생시킨다. ㄷ. 토양 내 전하의 균형은 H+에 의해 이루어진다. ㄹ. 정장석의 가수분해에 의한 풍화는 H+을 발생시킨다. ㅁ. 암모니아가 질산태질소로 산화되면서 H+을 발생시킨다. |
① ㄱ, ㄴ, ㄷ
② ㄱ, ㄷ, ㄹ
③ ㄱ, ㄹ, ㅁ
④ ㄴ, ㄷ, ㅁ
⑤ ㄴ, ㄹ, ㅁ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3. 탈질작용에 관여하는 미생물 속(genus)만을 나열한 것은?
① Bacillus, Mycobacter
② Bacillus, Micrococcus
③ Derxia, Nitrosomonas
④ Pseudomonas, Klebsiella
⑤ Beijerinckia, Azotobacter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4. 토양오염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농약의 장기간 연용 및 산성비는 점오염원이다.
② 미량원소인 Mo은 산성조건에서 용해도가 감소한다.
③ 부식은 Cu²+,Pb²+등과 킬레이트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④ 토양에 시비하는 질소 비료와 인산 비료는 강이나 호소의 부영양화를 일으킨다.
⑤ 오염된 토양을 개량하고 복원하는 방법에는 물리적,화학적,생물적 방법등이 포함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5. 토양 내 점토와 부식의 함량이 각각 30%, 5%일 때의 양이온교환용량(cmolc/kg)은?
(단, 점토와 부식의 양이온교환용량은 각각 30과 200이며, 모래와 미사의 양이온교환용량은 0으로 가정한다.)
① 10
② 14
③ 15
④ 16
⑤ 19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6. 토양수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토양수는 토양수분퍼텐셜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② 판상구조 토양의 수리전도도는 입상구조 토양의 것보다 크다.
③ 사질토양은 모세관의 공극량이 적어 위조점의 수분함량도 낮다.
④ 식질토양의 배수가 불량한 이유는 미세공극이 많이 발달해 있기 때문이다.
⑤ 텐시오미터법은 유효수분 함량을 평가할 수 있으며 관수시기와 관수량을 결정하는 데 활용된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7. 음이온의 형태로 식물체에 흡수되는 원소만을 나열한 것은?
① Fe, S
② K, Mn
③ Ca, Zn
④ Mg, Cu
⑤ Mo, Cl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8. 토양의 이온교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양이온교환용량에 대한 H+의 총량을 염기포화도라 한다.
② Fe과 Al이 많은 산성토양에는 음이온 흡착용량이 매우 낮다.
③ 양이온교환용량은 점토보다 모래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④ 양이온의 흡착 강도는 양이온의 수화반지름이 작을수록 증가한다.
⑤ 토양 pH가 증가하면 pH의존성 전하가 감소하기 때문에 양이온교환용량도 증가한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9. 토성을 판별하기 위해 모래, 미사, 점토의 비율을 분석하는 방법만을 나열한 것은?
① 피펫법, 비중계법
② 피펫법, 건토 중량법
③ 촉감법, 건토 중량법
④ 촉감법, 코어 측정법
⑤ 비중계법, EDTA 적정법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0. 'A' 도시공원에서 토양 코어(400cm³)로 채취한 토양의 물리적 특성이 다음과 같을 때,
이 토양의 공극률(%)은?
건조 전 토양의 무게(g) |
건조 후 토양의 무게(g) |
고형입자의 용적(cm³) |
600 | 440 | 220 |
① 40
② 45
③ 50
④ 55
⑤ 60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남쪽날개매미충
'나무의사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무의사 11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관리학(101~125) (7) | 2025.07.03 |
---|---|
나무의사 11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생리학(51~75) (12) | 2025.06.27 |
나무의사 11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해충학(26~50) (7) | 2025.06.26 |
나무의사 11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병리학(1~25) (14) | 2025.06.25 |
나무의사 10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관리학(101~125) (2)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