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 식재지 환경과 그에 적합한 수종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토양이 척박한 지역 - 보리수나무, 곰솔
② 배수가 잘 안 되는 지역 - 왕버들, 낙우송
③ 토양이 건조한 지역 - 호랑가시나무, 눈향나무
④ 고층건물에 가려진 그늘 지역 - 느티나무, 개잎갈나무
⑤ 염분을 함유한 바람이 많은 해안 지역 - 때죽나무, 향나무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2. 도시의 수목 생육 환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도시는 건물에 의한 대기의 흐름 변화 등으로 미기후의 변화가 크다.
② 대도시의 야간 상시조명이 주변 수목의 생식생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③ 대기오염이 심한 도심환경의 경우 식재할 수 있는 가로수의 수종 선택이 제한될 수 있다.
④ 도시의 토양은 주기적인 낙엽 제거로 산림토양에 비해 용적밀도는 낮고, 투수계수는 높다.
⑤ 남부지방 수종을 중부지방 도심에 식재하면 극단적 기상 발생 시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3. 매립지 식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폐기물매립지에는 키가 작고 천근성이며 내습성이 있는 수종을 식재한다.
② 해안매립지에는 곰솔, 감탕나무, 아까시나무, 녹나무 등을 식재한다.
③ 폐기물매립지 식재지반에는 가스수집정(우물)과 가스배출용 배기파이프를 설치한다.
④ 해안매립지에서는 전기전도도(EC)가 0.7dS/m이하인 물을 관수하여 토양 내 염분을 제거한다.
⑤ 해안매립지 식재지반에는 점토질 토양을 갯벌 바닥에 40cm이상의 두께로 포설하여 염분차단층을
설치한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4. 전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죽은 가지는 지륭을 손상시키지 않고 바짝 자른다.
② 3개의 동일세력줄기가 발생한 낙엽활엽교목은 그중 1개를 억제한다.
③ 이듬해 꽃을 감상하고자 하는 백목련, 등, 치자나무는 당년에 꽃이 지자마자 전정한다.
④ 토피어리(topiary) 수목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육기간 중에 2회 이상 전정한다.
⑤ 송전선 주변의 수목은 필요한 만큼만 전정하고, 가지가 전선을 피해 자랄 수 있도록 유도한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5. ( ) 안에 들어갈 최솟값으로 적합한 것은? (단, 「ANSI A300」을 준용한다.)
아래 그림과 같이 수간에 공동이 있는 수목은 외곽의 조직이 정상이어도 도복의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건전한 목부의 두께(A)가 전체 직경(B)의 ( )이상이면 안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
① 1/2
② 1/3
③ 1/4
④ 1/5
⑤ 1/6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6. 물리적 충격에 의해 손상된 수피의 치료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구획화된 상처조직에 건전한 수피를 이식한다.
② 치료가 끝난 상처는 즉시 햇빛에 노출시킨다.
③ 들뜬 수피는 즉시 제자리에 밀착시키고 작은 못이나 테이프로 고정한다.
④ 상처부위를 깨끗하게 손질한 다음 상처도포제를 여러 번 두껍게 바른다.
⑤ 상처 가장자리는 건전조직을 일부 제거하더라도 보기 좋은 모양으로 다듬어 준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7. 가지 기부에서 선단부까지의 길이가 6.0m와 9.0m인 두개의 골격지를 줄당김으로 보강하고자 한다.
이때 기부로부터 각 고정장치의 설치 위치가 옳은 것은?(단, 위치 결정은 「ANSI A300」을 준용한다.)
6.0m 골격지 9.0m 골격지
① 1.0m 2.5m
② 2.0m 3.0m
③ 3.0m 4.5m
④ 4.0m 6.0m
⑤ 5.0m 7.5m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8. 수목의 동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사시나무, 자작나무, 오리나무는 동해를 자주 받는다.
② 생육기간 중에 낮은 기온으로 나타나는 저온 피해를 의미한다.
③ 고위도 생육 수종은 저위도 생육 수종보다 내한성이 약하다.
④ 피해를 받은 낙엽 활엽수의 어린 가지를 이른 봄에 제거한다.
⑤ 봄에 개화하고 열매가 다음 해에 익는 수종은 열매가 월동 중에 피해를 받을 수 있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9. 수목의 침수 후 나타나는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줄기의 신장이 촉진된다.
② 뿌리에서 다량의 옥신이 생성된다.
③ 잎이 안으로 말리고 오래 붙어 있다.
④ 주목은 잎 아랫면에 과습돌기(edema, 수종, 물혹)가 형성된다.
⑤ 벚나무, 층층나무는 침수 후 과습토양에서 큰 피해가 없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0. 수목의 볕뎀(볕데기) 피해 및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어두운 색깔의 수피를 가진 나무는 피해가 적다.
② 햇볕에 노출된 토양의 온도가 상승하면 피해가 심해진다.
③ 햇볕에 노출된 줄기를 검은색 끈끈이 롤트랩으로 감싼다.
④ 줄기의 상단부에서 피해가 심하여 이 부분을 마대로 감싼다.
⑤ 장마 후 고온 건조하면 묵은 잎보다 새잎에서 탈수 현상이 심하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1. 복토 또는 심식 피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활엽수는 잎이 작아지고 황화된다.
② 수목의 지제부에 병목현상이 있고 뿌리가 썩는다.
③ 굵은 뿌리의 노출된 부분이 거의 없고, 잎이 일찍 떨어진다.
④ 활엽수에서는 수관의 아래에서 위로 가지 고사가 진행된다.
⑤ 침엽수 수관 전체의 잎이 퇴색하여 마르면 수세를 회복하기 힘들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2. 백로류의 집단 서식으로 수목이 피해를 받았을 때 토양에 처리할 것으로 옳은 것은?
① 황, 석고
② 생석회, 소석회
③ 황산철, 킬레이트철
④ 붕사, 킬레이트아연
⑤ 황산구리, 황산망간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3. ( ) 안에 들어갈 원소로 옳은 것은?
( ㉠ ) 의 결핍증은 어린잎에서 먼저 나타나고, ( ㉡ ) 의 결핍증은 성숙잎에서 먼저 나타난다. |
㉠ ㉡
① 인 철
② 붕소 칼슘
③ 질소 칼슘
④ 칼슘 칼륨
⑤ 질소 마그네슘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4. 디캄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뿌리와 잎을 통해 흡수된다.
② 광엽 잡초에 살초 효과가 있다.
③ 이동성이 우수하여 인접지에 약해가 발생할 수 있다.
④ 소나무 잎이 뒤틀리고 가지가 비대해지는 약해가 발생한다.
⑤ 약해가 발생하면 뿌리에서 지상부로 이동하는 옥신이 과다해진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5. 나비목 유충의 중장에 작용하여 탁월한 살충효과를 나타내므로 살충제로 개발된 미생물은?
① Bacillus thuringiensis
② Streptomyces avermitilis
③ Pseudomonas fluorescence
④ Saccharopolyspora spinosa
⑤ Lumbriconereis heteropoda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6. 아세타미프리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작용기작 분류기호는 4a이다.
② 침투이행성 살충성분으로 토양처리가 가능하다.
③ 인축과 꿀벌에 독성이 낮아 IPM에 활용된다.
④ 솔잎혹파리나 왕벚나무혹진딧물 방제에 사용된다.
⑤ 신경전달물질 수용체를 차단하여 살충작용을 나타낸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7. 포유동물과 해충 간 선택성이 높은 IGR(insect growth regulator)계 성분으로 키틴 합성효소를
저해하여 성충보다 유충방제에 효과적인 것은?
① 카탑
② 노발루론
③ 아바멕틴
④ 인독사카브
⑤ 테부페노자이드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8. 아미노산 생합성 억제작용기작을 갖는 비선택성 제초제로서, 경엽처리에는 사용되지만
토양에서 쉽게 흡착되거나 분해되어 토양처리제로 사용되지 않는 성분만을 나열한 것은?
① 플라자설퓨론, 벤타존
② 플라자설퓨론, 비페녹스
③ 글루포시네이트, 시메트린
④ 티아페나실, 글리포세이트
⑤ 글루포시네이트, 글리포세이트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9. 병원균의 호흡작용을 저해하는 살균제가 아닌 것은?
① 베노밀
② 카복신
③ 보스칼리드
④ 크레속심-메틸
⑤ 피라클로스트로빈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0. 약제 저항성 발달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이 아닌 것은?
① 동일 품목 약제를 반복 사용한다.
② 경종적 방법이나 기계적 방법을 병행하여 방제한다.
③ 병해충의 발달 상황을 고려하여 농약 살포적기를 준수한다.
④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을 준수하여 농약의 불필요한 사용을 억제한다.
⑤ 약제의 권장사용량 미만 사용이 양적저항성을 유발하므로 권장사용량을 준수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1. 버즘나무방패벌레는 8% 클로티아니딘 입상수용제로 방제하려 한다. 2,000배 희석 살포액을
100L 조제하여 수관살포할 때, 필요한 약량과 적절한 사용법을 옳게 연결한 것은?
① 50g - 입제살포법
② 50g - 분무법
③ 50mL - 관주법
④ 20mL - 연무법
⑤ 20g - 미스트법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2. 농약 안전사용기준을 설장하는 데 고려하는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사용 횟수
② 적용대상 농작물
③ 어독성과 방제효과
④ 사용제형과 사용시기
⑤ 약제의 잔류허용기준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3.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지침」소나무 재선충병 집단발생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개 표준지 크기는 0.04ha(20m×20m)이다.
② 1개 표준지 내 소나무류 비율이 25% 이상이다.
③ 1개 표준지 내 소나무류 중 20% 이상 고사한 경우이다.
④ 피해가 집단으로 발생한 경북 경주,안동,고령,성주,대구 달성 등 7개 지역을 특별방제구역으로
지정하였다.
⑤ 피해고사목과 기타고사목이 집단적으로 발생한 표준지가 1년 동안 25개 이상 예찰·조사된
읍 ·면 ·동을 말한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4. 「2025년도 산림병해충 예찰 · 방제계획」소나무재선충병 확산 저지를 위한 기본방향 및
세부추진 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피해지역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한 전략 방제 추진력을 확보한다.
② 매개충 혼생 권역(충남,경북)은 9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방제한다.
③ 북방수염하늘소 권역(경기,강원,충북)은 9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방제한다.
④ 대규모 반복 · 집단적 피해 발생지에 대한 수종전환 방제 적극 도입한다.
⑤ 솔수염하늘소 권역(전북, 전남, 경남, 제주)은 9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방제한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5. 「산림보호법 시행령」제12조7에 따른 '나무의사 등의 자격취소 및 행정처분의 세부기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나무의사 등의 자격증을 빌려준 경우 1차 위반 시 자격정지 2년에 처한다.
② 위반행위가 둘 이상일 경우 각각의 처분기준이 다를 때 그 중 무거운 처분기준을 따른다.
③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나무의사 등의 자격을 취득한 경우 1차 위반 시 자격이 취소된다.
④ 둘 이상의 처분기준이 같은 자격정지인 경우에 각 처분 기준일을 합산한 기간 동안을 자격 정지하되
5년을 초과할 수 없다.
⑤ 위반행위의 횟수에 따른 행정처분기준은 최근 3년 동안 같은 위반행위로 행정처분을 받은 경우에
적용받는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남생이무당벌레
'나무의사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무의사 11회 필기 기출문제 산림토양학(76~100) (4) | 2025.07.02 |
---|---|
나무의사 11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생리학(51~75) (12) | 2025.06.27 |
나무의사 11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해충학(26~50) (7) | 2025.06.26 |
나무의사 11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병리학(1~25) (14) | 2025.06.25 |
나무의사 10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관리학(101~125) (2)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