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 식재 수목을 선정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적지적수를 고려한다.
② 관리작업이 용이하여야 한다.
③ 유전적 특성을 이해하여야 한다.
④ 가지 - 줄기의 직경비가 높아야 한다.
⑤ 살아있는 수관비율(LCR)이 높아야 한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2. 식재지 토양을 유기물로 멀칭 할 때의 단점이 아닌 것은?
① 설치류의 은신처를 제공할 수 있다.
② 토양의 총 공극률이 감소할 수 있다.
③ 배수불량 토양에서 과습이 발생할 수 있다.
④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등이 발생할 수 있다.
⑤ 우드칩 멀칭은 수목에 질소결핍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3. 답압된 토양을 경운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수목관리용 장비가 아닌 것은?
① 리퍼(Ripper)
② 심경기(Subsoiler)
③ 쇄토기(Rototiller)
④ 동력 오거(Power Auger)
⑤ 트리 스페이드(Tree Spade)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4. 대형 수목 이식에 관한 설명을 옳게 나열한 것은?
| ㄱ. 수목의 크기와 수종, 인력, 예산 등을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ㄴ. 이식 성공은 이식 전 수준으로의 생장률 회복 여부로 판단한다. ㄷ. 스트로브잣나무는 동토근분으로 이식할 때 위험성이 비교적 낮은 수종이다. ㄹ. 온대지방 수목 중 낙엽활엽수는 낙엽이후 초겨울, 침엽수는 초가을이나 늦봄, 야자나무류는 이른 봄이 이식적기이다.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5. 균근균의 기주 정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감염원의 밀도가 높아야 한다.
② 유전적 친화성이 높아야 한다.
③ 균근균이 침입할 수 있는 세포간극이 충분하여야 한다.
④ 고산과 툰드라 지역에서 생육하는 수목에는 균근균이 정착하지 못한다.
⑤ 송이버섯은 소나무림의 나이가 20~80년정도로 활력이 가장 왕성할 때 공생관계를 형성한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6. 건설 현장의 수목보호구역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울타리를 설치한다.
② 활력이 좋고 넓은 수관을 갖는 나무는 낙수선을 기준으로 설정한다.
③ 수간이 기울어져 수관이 한쪽으로 편향된 나무는 수고를 기준으로 설정한다.
④ 수목보호구역의 크기와 형태는 해당수종의 충격 민감성, 뿌리와 수관의 입체적 형태 등을 고려한다.
⑤ 보호구역 안에서는 어떠한 공사활동, 자재 및 쓰레기의 야적, 모니터링을 위한 통로 등도 허용되지 않는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7. 이식 후 지주를 설치한 수목을 자연상태의 수목과 비교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근계가 더 커지기 쉽다.
② 결속이 풀리면 똑바로 서지 못할 수도 있다.
③ 수간 초살도가 낮아지거나 역전되기도 한다.
④ 결속으로 인한 마찰과 환상의 상처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⑤ 결속 지점에서 횡단면적당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기 쉽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8. 지구온난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각종 프레온 가스는 산업혁명 이전부터 존재해 왔다.
② 온실효과 가스로는 CO₂, CH₄, N₂O, CFCs 등이 있다.
③ 온실효과 가스 중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농도는 현대 약 300ppm 정도이다.
④ 한국의 아한대 수종들은 기온 상승에 따라 급속도로 생육 범위가 넓어질 것이다.
⑤ 지구온난화로 열대·아열대의 해충유입은 될 수 있으나 온대 지방에서는 월동이 어려워
발생하지 못한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9. 나무 뿌리에 의한 배수관로의 막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CuSO₄ 용액을 배수관로 표면에 도포한다.
② MgSO₄ 1,000배 희석액을 토양 표면에 관주한다.
③ 토목섬유에 비선택성 제초제를 도포한 방근막으로 배수관로를 감싼다.
④ 관로 주변에 버드나무류 등 침투성 뿌리를 갖는 수종의 식재를 피한다.
⑤ 배수관로의 연결부위는 방수가 되고 탄력이 있는 이중관으로 설치한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0. 수목의 위험평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평가 방법은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가 있다.
② 정밀 평가 단계에서 정보 수집을 위해 망원경, 탐침 등을 사용한다.
③ 부지환경, 수목의 구조와 각 부분(수간, 수관, 가지, 뿌리)의 결함 유무를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④ 제한적 육안평가는 명백한 결함이나 특정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신속하게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⑤ 매몰된 수피, 좁은 가지 부착 각도, 상처와 공동 등은 수목의 파손가능성을 높이는 부정적 징후들이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1. 전정 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ㄱ. 수액유출이 심한 나무는 잎이 완전히 전개된 이후 여름에 전정한다. ㄴ. 전정 상처를 빠르게 유합시키기 위해서 휴면기 직전에 전정하는 것이 좋다. ㄷ. 목련류, 철쭉류는 꽃이 진 직후 전정하면, 다음 해 꽃눈의 수가 감소한다. ㄹ. 수간과 가지의 구조를 튼튼하게 발달시키기 위해서 어릴 때 전정을 시작한다. ㅁ. 봄철 건조한 날에 전정하는 것이 비오는날 전정하는 것보다 소나무 가지끝마름병으로부터 상처 부위의 감염을 억제할 수 있다. |
① ㄱ, ㄴ, ㄹ
② ㄱ, ㄷ, ㄹ
③ ㄱ, ㄹ, ㅁ
④ ㄴ, ㄷ, ㄹ
⑤ ㄴ, ㄹ, ㅁ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2. 같은 장소에서 발견된 두 가지 생물종 사이의 상호작용이 나머지 네 개와 다른 것은?
① 동백나무 - 동박새
② 소나무 - 모래밭버섯
③ 오리나무 - Frankia sp.
④ 박태기나무 - Rhizobium sp.
⑤ 오동나무 - 담배장님노린재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3. 수피 상처의 치료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피이식을 시도할 수 있다.
② 목재부후균의 길항미생물을 접종한다.
③ 교접으로 사부 물질의 이동통로를 확보한다.
④ 부후균 침입을 예방하기 위해 상처부위를 햇빛에 노출시킨다.
⑤ 살아있는 들뜬 수피는 발생 즉시 작은 못으로 고정하고 보습재로 덮은 후 폴리에틸렌 필름을 감아 준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4. 벌목작업과 체인톱 취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사지에서의 벌도방향은 경사방향과 평행하게 하는 것이 좋다.
② 체인톱은 시동 후 2~3분, 정지하기 전에는 저속 운전한다.
③ 벌도목 수고의 1.5배 반경 안에는 작업자 이외 사람의 접근을 막는다.
④ 체인톱을 사용할 때 톱니를 잘 세우지 않으면 거치효율이 저하되어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⑤ 근원직경 15cm 이하인 소경목은 수구와 추구 없이 20도 정도의 기울기로 가로 자르기를 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5. 상렬의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추위가 심한 북서쪽 줄기 표면에 잘 일어난다.
② 피해는 흉고직경 15~30cm 정도의 수목에서 주로 발견된다.
③ 피해는 활엽수보다 수간이 곧은 침엽수에서 더 많이 관찰된다.
④ 초겨울 또는 초봄에 습기가 많은 묘포장에서 발생하기 쉽다.
⑤ 북쪽지방이 원산지인 수종을 남쪽지방으로 이식했을 경우에 피해를 입는다.
정답 -> 모두정답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6. 풍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문비나무와 낙엽송은 풍해에 약하다.
② 주풍은 10~15m/s, 강풍은 29m/s 이상의 속도로 부는 바람을 말한다.
③ 주풍의 피해로 침엽수는 상방편심을, 활엽수는 하방편심을 하게 된다.
④ 방풍림의 효과는 주풍 방향에 직각으로 배치하기보다는 비스듬히 배치하는 것이 더 좋다.
⑤ 유령목에 나타나는 강풍의 피해는 수간이 부러지는 피해보다 만곡이나 도복의 피해가 많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7. 내화수림대를 조성하는 수종으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① 은행나무, 아왜나무, 벚나무
② 가문비나무, 동백나무, 벚나무
③ 대왕송, 후피향나무, 고로쇠나무
④ 분비나무, 구실잣밤나무, 피나무
⑤ 잎갈나무, 참나무류, 아까시나무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8. 토양수분이 과다할 때 수목에 나타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과습 토양에 대한 저항성은 주목이 낮으며 낙우송은 높은 편이다.
② 토양 내 산소 부족현상이 나타나서 세근의 생육을 방해할 수 있다.
③ 토양 과습의 초기 증상은 엽병이 누렇게 변하면서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나타낸다.
④ 지상부에 나타나는 후기 증상은 수관 아래부터 위로 가지가 고사되면서 수관이 축소된다.
⑤ 고산지 수종은 침수에 대한 내성이 거의 없어서 토양수분이 과다하게 되면 피해가 빠르게 나타난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9. 2차 대기오염물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오존과 PAN에 의한 피해는 햇빛이 강한 날에 잘 발생한다.
② 이산화질소와 불포화탄화수소의 광화학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것은 PAN이다.
③ PAN에 의한 피해는 계속 성장하는 미성숙한 잎에서 심하게 발생한다.
④ 오존의 조직학적 가시장해의 특징은 기공에 가까운 해면조직이 피해를 받는다.
⑤ 느티나무, 중국단풍나무 등은 오존에 대한 감수성이 대체로 크며, 낙엽송은 이들 수목보다 내성이 있는 편이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0. 강산성 토양에서 결핍되기 쉬운 무기양분으로 짝지어진 것은?
① 인 - 망간
② 인 - 칼슘
③ 망간 - 칼슘
④ 마그네슘 - 철
⑤ 마그네슘 - 아연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1. 염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해빙염의 피해는 낙엽수보다 상록수의 피해가 더 크다.
② 곰솔, 느티나무, 후박나무 등은 염해에 내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③ 토양 내 염류 물질이 적을수록 전기전도도는 높아지며 식물피해도 줄어든다.
④ 해빙염의 피해는 침엽수와 활엽수에서 서로 다른 수관 위치에서 나타날 수 있다.
⑤ 해빙염의 경우 상록수는 봄이 오기 전에 잎에 피해가 나타나고 낙엽수는 새싹이 생육한 후 나타난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2. 농약 사용의 문제점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농약 사용 증가로 인한 약제 저항성 증가
② 잔류 문제 해결을 위한 저잔류성 농약 개발
③ 생태계 파괴문제 해결을 위한 선택성 농약 개발
④ 인축독성 문제 해결을 위한 고독성농약 등록폐지
⑤ 농약 오용 문제 해결을 위한 Intergrated Nutrient Management(INM)실천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3. 농약의 보조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증량제에는 활석, 납석, 규조토, 탄산칼슘 등이 있다.
②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양이온, 비이온, 양성 계면활성제로 구분된다.
③ 협력제는 농약의 약효를 증진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첨가제이다.
④ 계면활성제의 HLB 값은 20 이하로 나타나며, 낮을수록 친수성이 높다.
⑤ 유기용제는 원제를 녹이는 데 사용하는 용매로 농약의 인화성과 관련된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4. 살충제의 유효성분과 작용기작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① Bt 엔도톡신 - 해충의 중장 파괴
② 페니트로티온 - 아세틸콜린가수분해 효소 저해
③ 디플루벤주론 - 전자전달계 복합체 Ⅱ 저해
④ 밀베멕틴 - 신경세포의 염소이온 통로 교란
⑤ 카탑 하이드로클로라이드 - 아세틸콜린수용체 통로차단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5. 디페노코나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인지질 생합성을 저해한다.
② 광합성 명반응을 교란한다.
③ 곤충의 키틴 합성을 억제한다.
④ 세포막 스테롤 생합성을 교란한다.
⑤ 유기인계 농약으로 항균활성을 갖는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6. 지방산 생합성 억제 작용기작을 갖는 제초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Cyclohexanedione계 성분이 있다.
② Aryloxyphenoxypropionate계 성분이 있다.
③ Glufosinate는 지방산 생합성 억제제이다.
④ Cyhalofop-butyl은 협엽(단자엽) 식물에 선택성이 높다.
⑤ 아세틸 CoA 카르복실화효소(ACCase)의 저해작용을 갖는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7. 농약의 품목에 관한 내용 중 옳은 것은?
① 유효성분명을 계통으로 분류한 것이다.
② ' 델타메트린 수화제 ' 는 품목명이다.
③ 보조제 함량과 제제의 형태로 분류한 것이다.
④ 유효성분 계통과 보조제 성분이 동일한 농약이다.
⑤ 품목이 동일한 농약은 같은 상표명을 갖는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8. 호흡과정 저해와 관련된 농약의 작용기작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Alachlor은 대표적인 호흡과정 저해제이다.
② 살충제 작용기작 분류기호 '20a'와 관련된다
③ 살균제 작용기작 분류기호 '다1'과 관련된다.
④ 전자전달을 교란하거나 ATP 생합성을 억제한다.
⑤ 미토콘드리아 막단백질 복합체의 기능을 교란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9. 농약 제형을 만드는 목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농약 살포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② 최적의 약효 발현과 약해를 최소화한다.
③ 유효성분의 물리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④ 소량의 유효성분을 넓은 지역에 균일하게 살포한다.
⑤ 유효성분 부착량 감소를 위한 다양한 보조제를 적용한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30. 농약 제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액상수화제 - 물과 유기용매에 난용성인 원제를 이용한 액상형태
② 액제 - 원제가 수용성이며 가수분해의 우려가 없는 원제를 물 또는 메탄올에 녹인 제형
③ 유제 - 농약 원제를 유기용매에 녹이고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액체 제형
④ 캡슐제 - 농약원제를 고분자 물질로 피복하여 고형으로 만들거나 캡슐 내에 농약을 주입한 제형
⑤ 훈증제 - 낮은 증기압을 가진 농약원제를 액상, 고상 또는 압축가스상으로 용기 내에 충진한 제형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31.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작물, 방제 대상, 살포 방법, 희석 배수 등이 표시되어 있다.
② 최종 살포시기와 살포 횟수를 명시하여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게 한다.
③ 안전사용기준 설정은 병해충 발생시기와 잔류허용기준을 동시에 고려해 설정한다.
④ 농약 사용 환경을 고려해야 하므로 농약 등록 후 경과 기간을 두고 설정하는 것이 원칙이다.
⑤ 농약 판매업자가 농약 안전사용기준을 다르게 추천하거나 판매하는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32. 소나무가 식재된 1ha의 임야에 살충제 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10%)를 500배 희석하여 10a당
100L의 양으로 살포하고자 한다. 소요 약량은?
① 0.2kg
② 0.5kg
③ 1kg
④ 2kg
⑤ 4kg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33. 한국에서 시행 중인 농약의 독성관리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동일성분의 경우 고체 제품보다는 액체 제품의 독성이 더 높게 구분되어 있다.
② ADI(1일 섭취허용량)는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의 근거가 된다.
③ 농약살포자의 농약 위해성 평가에 대한 중요한 요소는 노출량이다.
④ 농약제품의 인축독성은 경구독성과 경피독성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⑤ 농약제품의 독성은 Ⅰ(맹독성), Ⅱ(고독성), Ⅲ(보통독성), Ⅳ(저독성)급으로 구분하고 있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34. 농축된 상태의 액제 제형으로 항공 방제에 사용되는 특수 제형이며 원제의 용해도에 따라
액체나 고체상태의 원제를 소량의 기름이나 물에 녹인 형태의 제형은?
① 분의제
② 분산성액제
③ 수면전개제
④ 캡슐협탁제
⑤ 미량살포액제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35. 농약의 잔류허용기준 제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농약 및 식물 별로 잔류허용기준을 다르다.
② 농약잔류허용기준은 「농약관리법」에 의하여 고시된다.
③ 일본과 유럽, 대만 등은 PLS 제도를 한국보다 앞서서 운영하고 있다.
④ 한국에서 잔류허용기준 미설정 농약은 불검출 수준(0.01mg/kg)으로 관리한다.
⑤ 적절한 사용법으로 병해충을 방제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양만을 사용하도록 유도한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36. 소나무재선충병 예방나무주사 실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약제 피해가 우려되는 식용 잣·송이 채취지역은 제외한다.
② 장기 예방나무주사는 보호수 등 보존 가치가 높은 수목에 한하여 사용한다.
③ 선단지 등 확산우려 지역은 소나무 재선충과 매개충 동시방제용 약제를 사용한다.
④ 예방나무주사 1,2순위 대상지는 최단 직선거리 5km 이내에 소나무재선충병이 발생하였을 때 시행한다.
⑤ 선단지 및 소규모 발생지에 대하여 피해고사목 방제 후 벌채지 외곽 30m내외의 건전목에 실행한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37. 「산림병해충 방제규정」 제7조 산림병해충 발생밀도(피해도)조사 요령 중 병해충명과 구분방법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갈색날개매미충 - 약·성충 수
② 미국흰불나방 - 유충의 군서 개소
③ 미국선녀벌레 - 수관부의 피해 면적
④ 이팝나무 녹병 - 피해본수 및 피해잎수
⑤ 벚나무 빗자루병 - 피해본수 및 피해증상수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38. 「산림보호법시행령」 제36조 과태료 부과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나무의사가 보수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 1차 위반 시 과태료 금액은 50만 원이다.
② 법 위반상태의 기간이 12개월 이상인 경우 과태료 금액의 1/2 범위에서 그 금액을 가중할 수 있다.
③ 위반행위가 고의나 중대한 과실에 의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과태료 금액의 1/2 범위에서 그 금액을
가중할 수 있다.
④ 위반행위가 사소한 부주의가 오류에 의한 것으로 인정될 경우 과태료 금액의 1/2 범위에서 그 금액을
감경할 수 있다.
⑤ 나무의사가 정당한 사유 없이 처방전 등의 발급을 거부한 경우 2차 위반 시 과태료 금액은 70만 원이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39. 「산림보호법 시행령」 제7조의 3에 따라 보호수 지정을 해제하려고 할 때 공고에 포함될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수종
② 수령
③ 소재지
④ 관리번호
⑤ 해제사유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40. 「2022년도 산림병해충 예찰·방제 계획」 내 외래·돌발 산림병해충 적기 대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역별 적기 나무주사를 실행하여 방제효과 제고 및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② 붉은불개미 등 위해 병해충의 유입 차단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③ 농림지 동시발생 병해충에 대한 공동협력 방제 강화로 피해를 최소화한다.
④ 예찰조사를 강화하여 조기발견·적기방제 등 협력체계를 정착시켜 피해를 최소화한다.
⑤ 대발생이 우려되는 외래·돌발병해충은 사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국민생활의 안전을 확보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41010 배롱나무흰가루병
| 나무의사 8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해충학(26~50) (5) | 2024.12.27 |
|---|---|
| 나무의사 8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병리학(1~25) (0) | 2024.12.25 |
| 나무의사 7회 필기 기출문제 산림토양학(76~100) (0) | 2024.12.22 |
| 나무의사 7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생리학(51~75) (0) | 2024.12.20 |
| 나무의사 7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해충학(26~50) (1) | 202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