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세기 초 대규모 발생하여 수목병리학의 발전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된 병으로만 나열한 것은?
① 밤나무 줄기마름병, 느릅나무 시들음병, 잣나무 털녹병
② 참나무 시들음병, 느릅나무 시들음병, 배나무 불마름병(화상병)
③ 대추나무 빗자루병, 포플러 녹병, 소나무 시들음병(소나무재선충병)
④ 향나무 녹병, 밤나무 줄기마름병, 소나무 시들음병(소나무재선충병)
⑤ 소나무 시들음병(소나무재선충병), 잣나무 털녹병, 소나무류(푸자리움) 가지마름병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 생물적·비생물적 원인에 대한 수목의 반응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닌 것은?
① 궤양
② 암종
③ 위축
④ 자좌
⑤ 더뎅이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 수목병과 생물적 방제에 사용되는 미생물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모잘록병 - Trichoderma spp.
② 잣나무 털녹병 - Tuberculina maxima
③ 안노섬뿌리썸음병 - Peniophora gigantea
④ 참나무 시들음병 - Ophiostoma piliferum
⑤ 밤나무 줄기마름병 - dsRNA 바이러스에 감염된 Cryphonectria parasitica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 수목에 나타나는 빗자루 증상의 원인이 아닌 것은?
① 곰팡이
② 제설제
③ 제초제
④ 흡즙성 해충
⑤ 파이토플라스마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 수목병과 진단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근두암종병 - ELISA 검정
② 뽕나무 오갈병 - DAPI 형광염색법
③ 흰가루병 - 자낭구의 광학현미경 검경
④ 벚나무 번개무늬병 - 병원체 ITS 부위의 염기서열 분석
⑤ 소나무 시들음병(소나무재선충병) - Baermann 깔때기법으로 분리 후, 현미경 검경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 Pestalotiopsis sp.에 의해 발생하는 수목병은?
① 사철나무 탄저병
② 철쭉류 잎마름병
③ 회양목 잎마름병
④ 참나무 둥근별무늬병
⑤ 홍가시나무 점무늬병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7. 병원균의 세포벽에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이 포함된 수목병은?
① 감귤 궤양병
② 포플러 잎녹병
③ 참나무 시들음병
④ 두릅나무 더뎅이병
⑤ 느티나무 흰별무늬병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 소나무의 외생균근(ectomycorrhiza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균근균은 대부분 담자균문에 속한다.
② 뿌리와 균류가 공생관계를 형성한다.
③ 뿌리병원균의 침입으로부터 뿌리를 방어한다.
④ 뿌리표면적이 넓어지는 효과로 인(P) 등의 양분 흡수를 용이하게 한다.
⑤ 베시클(Vesicle)과 나뭇가지 모양의 아뷰스큘(arbuscule)을 형성한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 곤충이 병원체의 기주 수목 침입에 관여하지 않는 병은?
① 참나무 시들음병
② 대추나무 빗자루병
③ 사철나무 그을음병
④ 사과나무 불마름병(화상병)
⑤ 소나무 푸른무늬병(청변병)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 수목병을 일으키는 유성포자가 아닌 것을 나열된 것은?
| ㄱ. 난포자 ㄴ. 담자포자 ㄷ. 분생포자 ㄹ. 유주포자 ㅁ. 자낭포자 ㅂ. 후벽포자 |
① ㄱ, ㄴ, ㄷ
② ㄴ, ㄷ, ㅂ
③ ㄷ, ㄹ, ㅁ
④ ㄷ, ㄹ, ㅂ
⑤ ㄹ, ㅁ, ㅂ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 배수가 불량한 곳에서 피해가 특히 심한 수목병으로 나열된 것은?
① 밤나무 잉크병, 장미 검은무늬병
② 라일락 흰가루병, 회양목 잎마름병
③ 향나무 녹병, 단풍나무 타르점무늬병
④ 소나무류(푸자리움) 가지마름병, 철쭉류 떡병
⑤ 밤나무 파이토프토라뿌리썩음병, 전나무 모잘록병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 병든 낙엽 제거로 예방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수목병으로 나열된 것은?
① 모과나무 점무늬병, 참나무 시들음병
② 칠엽수 얼룩무늬병, 소나무류 잎떨림병
③ 버즘나무 탄저병, 소나무류 피목가지마름병
④ 소나무류(푸자리움) 가지마름병, 사철나무 탄저병
⑤ 소나무 시들음병(소나무재선충병), 단풍나무 타르점무늬병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3. 수목 뿌리에 발생하는 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모잘록병은 병원균 우점병이다.
② 리지나뿌리썩음병균은 파상땅해파리버섯을 형성한다.
③ 파이토프토라뿌리썩음병균은 미끼법과 선택배지법으로 분리할 수 있다.
④ 아까시흰구멍버섯에 의한 줄기밑둥썩음병은 변재가 먼저 썩고 심재가 나중에 썩는다.
⑤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은 기주 우점병으로 토양 내에서 뿌리꼴균사다발이 건전한 뿌리쪽으로 자란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4. 환경 개선에 의한 수목병 예방 및 방제법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철쭉류 떡병 - 통풍이 잘 되게 해 준다.
② 리지나뿌리썩음병 - 산성토양일 때에는 석회를 시비한다.
③ 자주날개무늬병 - 석회를 살포하여 토양산도를 조절한다.
④ 소나무류 잎떨림병 - 임지 내 풀깎기 및 가지치기를 한다.
⑤ Fusarium sp.에 의한 모잘록병 - 토양을 과습 하지 않게 유지한다.
정답 -> 모두정답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5. 병원체가 같은 분류군(문)인 수목병으로 나열된 것은?
| ㄱ. 소나무 혹병 ㄴ. 철쭉류 떡병 ㄷ. 뽕나무 오갈병 ㄹ. 벚나무 빗자루병 ㅁ. 밤나무 가지마름병 ㅂ. 대추나무 빗자루병 ㅅ. 호두나무 근두암종병 ㅇ. 사과나무 자주날개무늬병 |
① ㄱ, ㄴ, ㄷ
② ㄱ, ㄴ, ㅇ
③ ㄴ, ㄷ, ㅅ
④ ㄷ, ㄹ, ㅇ
⑤ ㄹ, ㅂ, ㅅ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6. Corynespora cassiicola에 의한 무궁화 점무늬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이른 봄철부터 발생한다.
② 건조한 지역에서 흔히 발생한다.
③ 어린잎의 엽병 및 어린줄기에서도 나타난다.
④ 수관 위쪽 잎부터 발병하기 시작하여 아래쪽 잎으로 진전된다.
⑤ 초기에는 작고 검은 점무늬가 나타나고 차츰 겹둥근무늬가 연하게 나타난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7. 밤나무 잉크병의 병원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격벽이 없는 다핵균사를 형성한다.
② 세포벽의 주성분은 글루칸과 섬유소이다.
③ 장정기(antheridium)의 표면이 울퉁불퉁하다.
④ 무성생식으로 편모를 가진 유주포자를 형성한다.
⑤ 참나무 급사병 병원체와 동일한 속(genus)이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8. 다음 증상을 나타내는 수목병은?
| * 죽은 가지는 세포로 주름이 잡히고 성숙하면 수피 내 분생포자반에서 포자가 다량 누출된다. * 포자가 빗물에 씻겨 수피로 흘러내리면 마치 잉크를 뿌린 듯이 잘 보인다. |
① 밤나무 잉크병
② Nectria 궤양병
③ Hypoxylon 궤양병
④ 밤나무 줄기마름병
⑤ 호두나무 검은(돌기)가지마름병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9. 병원균이 자낭반을 형성하는 수목병으로 나열된 것은?
| ㄱ. 버즘나무 탄저병 ㄴ. 밤나무 줄기마름병 ㄷ. 낙엽송 가지끝마름병 ㄹ. 단풍나무 타르점무늬병 ㅁ. 소나무류 피목가지마름병 ㅂ. 소나무류 리지나뿌리썩음병 |
① ㄱ, ㄴ, ㄷ
② ㄴ, ㄷ, ㄹ
③ ㄴ, ㅁ, ㅂ
④ ㄷ, ㄹ, ㅁ
⑤ ㄹ, ㅁ, ㅂ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 녹병균의 핵상이 2n인 포자가 형성되는 기주와 병원균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향나무 - 향나무 녹병균
② 신갈나무 - 소나무 혹병균
③ 산철쭉 - 산철쭉 잎녹병균
④ 전나무 - 전나무 잎녹병균
⑤ 황벽나무 - 소나무 잎녹병균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1. 수목병과 증상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소나무 잎마름병 - 봄에 침엽의 윗부분(선단부)에 누런 띠 모양이 생긴다.
② 소나무류(푸자리음) 가지마름병 - 신초와 줄기에서 수지가 흘러내려 흰색으로 굳어 있다.
③ 회양목 잎마름병 - 병반 주위에 짙은 갈색 띠가 형성되며, 건전 부위와의 경계가 뚜렷하다.
④ 버즘나무 탄저병 - 잎이 전개된 이후에 발생하면 잎맥을 중심으로 번개 모양의 갈색 병반이 형성된다.
⑤ 참나무 갈색둥근무늬병 - 잎의 앞면에 건전한 부분과 병든 부분의 경계가 뚜렷하게 적갈색으로 나타난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2. 아래 보기 중, 병원균의 유성생식 자실체 크기가 가장 작은 수목병은?
① 자주날개무늬병
② 안노섬뿌리썩음병
③ 배롱나무 흰가루병
④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⑤ 소나무류 피목가지마름병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3. 한국에서 선발육종하여 내병성 품종 실용화에 성공한 사례는?
① 포플러 잎녹병
② 벚나무 빗자루병
③ 장미 모자이크병
④ 대추나무 빗자루병
⑤ 밤나무 줄기마름병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4. 벚나무 빗자루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병원균은 Taphrina wiesneri이다.
② 유성포자인 자낭포자는 자낭반의 자낭내에 8개가 형성된다.
③ 벚나무류 중에서 왕벚나무에 피해가 가장 심하게 나타난다.
④ 감염된 가지에는 꽃이 피지 않고 작은 잎들이 빽빽하게 자라 나오며 몇 년 후에 고사한다.
⑤ 병원균의 균사는 감염 가지와 눈의 조직 내에서 월동하므로 감염 가지는 제거하여 태우고
잘라낸 부위에 상처도포제를 바른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5. 소나무 푸른무늬병(청변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목재 구성 성분인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이 분해된다.
② 상처에 송진 분비량이 감소하고 침엽이 갈변하며 나무 전체가 시들기 시작한다.
③ 멜라닌 색소를 함유한 균사가 변재 부위의 방사유조직을 침입하고 생장하여 변색시킨다.
④ 감염목의 변재 부위는 병원균의 증식으로 갈변되고 물관부가 막혀서 수분이동 장애가 발생된다.
⑤ 습하고 배수가 불량한 지역에서 뿌리가 감염되고 수피 제거 시 적갈색의 변색부위를 관찰할 수 있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30814 검정오이잎벌레
| 나무의사 8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생리학(51~75) (3) | 2024.12.28 |
|---|---|
| 나무의사 8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해충학(26~50) (5) | 2024.12.27 |
| 나무의사 7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관리학(101~140) (0) | 2024.12.24 |
| 나무의사 7회 필기 기출문제 산림토양학(76~100) (0) | 2024.12.22 |
| 나무의사 7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생리학(51~75) (0) | 202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