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개화한 다음 해에 종자가 성숙하는 수종은?
① 소나무, 신갈나무
② 소나무, 졸참나무
③ 잣나무, 굴참나무
④ 잣나무, 떡갈나무
⑤ 가문비나무, 갈참나무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2. 잎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나무 잎의 유관속 개수는 잣나무보다 많다.
② 1차 목부는 하표피 쪽에, 1차 사부는 상표피 쪽에 있다.
③ 대부분 피자식물은 기공의 수가 앞면보다 뒷면에 많다.
④ 나자식물에서는 내피와 이입조직이 유관속을 싸고 있다.
⑤ 소나무류는 왁스층이 기공의 입구를 에워싸고 있어 증산작용을 효율적으로 억제한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3. 수목이 능동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하는 활동을 모두 고른 것은?
| ㄱ. 잎의 기공 개폐 ㄴ. 수분의 세포벽 이동 ㄷ. 목부를 통한 수액 상승 ㄹ. 세포의 분열, 신장, 분화 ㅁ. 원형질막을 통한 무기영양소 흡수 | 
① ㄱ, ㄹ, ㅁ
② ㄴ, ㄷ, ㄹ
③ ㄷ, ㄹ, ㅁ
④ ㄱ, ㄴ, ㄹ, ㅁ
⑤ ㄱ, ㄷ, ㄹ, ㅁ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4. 수목의 뿌리생장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주근에서는 측근이 내피에서 발생한다.
② 외생균근이 형성된 수목들은 뿌리털의 발달이 왕성하다.
③ 온대지방에서 뿌리의 신장은 이른 봄에 줄기의 신장보다 늦게 시작한다.
④ 수목은 봄철 뿌리의 발달이 시작되기 전에 이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⑤ 주근은 뿌리의 표면적을 확대시켜 무기염과 수분의 흡수에 크게 기여한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5. 온대지방 수목의 수고생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느티나무와 단풍나무는 고정생장을 한다.
② 도장지는 침엽수보다 활엽수에 더 많이 나타난다.
③ 액아가 측지의 생장을 조절하는 것을 유한생장이라 한다.
④ 임분 내에서는 우세목이 피압목보다 도장지를 더 많이 만든다.
⑤ 정아우세 현상은 지베렐린이 측아의 생장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6. 수목의 광합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회양목은 아까시나무보다 광보상점이 낮다.
② 포플러와 자작나무는 서어나무보다 광포화점이 낮다.
③ 광도가 낮은 환경에서는 주목이 포플러보다 광합성 효율이 낮다.
④ 광합성은 물의 산화과정이며 호흡작용은 탄수화물의 환원과정이다.
⑤ 단풍나무류는 버드나무류보다 높은 광도에서 광보상점에 도달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7. 질소고정 미생물의 종류, 생활형태와 기주식물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Cyanobacteria - 내생공생 - 소철
② Frankia - 내생공생 - 오리나무류
③ Rhizobium - 외생공생 - 콩과식물
④ Azotobacter - 외생공생 - 나자식물
⑤ Clostridium - 외생공생 - 나자식물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8. 광색소와 광합성색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Pfr은 피토크롬의 생리적 활성형이다.
② 크립토크롬은 일주기현상에 관여한다.
③ 적색광이 원적색광보다 많을 때 줄기생장이 억제된다.
④ 카로티노이드는 광산화에 의한 엽록소파괴를 방지한다.
⑤ 엽록소 외에도 녹색광을 흡수하여 광합성에 기여하는 색소가 존재한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9. 수목의 형성층 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옥신에 의해 조절된다.
② 정단부의 줄기부터 형성층 세포분열이 시작된다.
③ 상록활엽수가 낙엽활엽수보다 더 늦은 계절까지 지속한다.
④ 임분 내에서 우세목이 피압목보다 더 늦게까지 지속한다.
⑤ 고정생장 수종은 수고생장과 함께 형성층 활동도 정지된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0.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 밀식된 숲은 밀도가 낮은 숲보다 호흡량이 (ㄱ) * 기온이나 토양 온도가 상승하면 호흡량이 (ㄴ)한다. * 노령이 될수록 총광합성량에 대한 호흡량 비율이 (ㄷ)한다. * 잎 주위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기공이 닫혀 호흡량이 (ㄹ) 한다. | 
① (ㄱ) 많다, (ㄴ)증가, (ㄷ)증가, (ㄹ)감소
② (ㄱ) 많다, (ㄴ)증가, (ㄷ)증가, (ㄹ)증가
③ (ㄱ) 많다, (ㄴ)증가, (ㄷ)감소, (ㄹ)증가
④ (ㄱ) 적다, (ㄴ)감소, (ㄷ)감소, (ㄹ)감소
⑤ (ㄱ) 적다, (ㄴ)감소, (ㄷ)증가, (ㄹ)감소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1. 탄수화물의 합성과 전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줄기와 가지에는 수와 심재부에 전분형태로 축적된다.
② 전분은 잎에서는 엽록체, 저장조직에서는 전분체에 축적된다.
③ 잎에서 합성된 전분은 단당류로 전환되어 사부에 적재된다.
④ 엽육세포 원형질에는 포도당이 가장 높은 농도로 존재한다.
⑤ 열매 속에 발달 중인 종자 내에서는 전분이 설탕으로 전환된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2. 수목 내 탄수화물 함량의 계절적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겨울에 줄기의 전분 함량은 증가하고 환원당의 함량은 감소한다.
② 낙엽수는 계절에 따른 탄수화물 함량 변화폭이 상록수보다 크다.
③ 가을에 낙엽이 질 때 줄기의 탄수화물 농도가 최고치에 도달한다.
④ 초여름에 밑동을 제거하면 탄수화물 저장량이 적어 맹아지 발생을 줄일 수 있다.
⑤ 상록수는 새순이 나올 때 전년도 줄기의 탄수화물 농도는 감소하고 새 줄기의 탄수화물 농도는 증가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3. 식물에서 질소를 포함하지 않는 물질은?
① DNA, RNA
② 니코틴, 카페인
③ ABA, 지베렐린
④ 엽록소, 루비스코
⑤ 아미노산, 폴리펩티드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4. 수목의 질소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탄수화물 공급이 느려지면 질산환원도 둔화된다.
② 소나무류는 주로 잎에서 질산태 질소가 암모늄태로 환원된다.
③ 산성토양에서는 질산태 질소가 축적되고, 이를 균근이 흡수한다.
④ 흡수한 암모늄 이온은 고농도로 축적되어 아미노산 생산에 이용된다.
⑤ 뿌리에서 흡수된 질산은 질산염 산화효소에 의해 아질산태로 산화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5. 낙엽이 지는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분리층의 세포는 작고 세포벽이 얇다.
② 신갈나무는 이층 발달이 저조한 수종이다.
③ 옥신은 탈리를 지연시키고 에틸렌은 촉진한다.
④ 탈리가 일어나기 전 목전질이 축적되며 보호층이 형성된다.
⑤ 가을철 잎의 색소변화와 함께 엽병 밑부분에 이층 형성이 시작된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6. 수목에 함유된 성분 중 페놀화합물로 나열한 것은?
| ㄱ. 고무 ㄴ. 큐틴 ㄷ. 타닌 ㄹ. 리그닌 ㅁ. 스테롤 ㅂ. 플라보노이드 | 
① ㄱ, ㄴ, ㄹ
② ㄱ, ㄷ, ㅂ
③ ㄴ, ㄷ, ㅂ
④ ㄷ, ㄹ, ㅁ
⑤ ㄷ, ㄹ, ㅂ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7. 수목의 물질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광주기를 감지하는 피토크롬은 마그네슘을 함유한다.
② 세포벽의 섬유소는 초식동물이 소화할 수 없는 화합물이다.
③ 지방은 설탕(자당)으로 재합성된 후 에너지가 필요한 곳으로 이동된다.
④ 겨울철 자작나무 수피의 지질함량은 낮아지고 설탕(자당) 함량은 증가한다.
⑤ 콩꼬투리와 느릅나무 내수피 주변에서 분비되는 검과 점액질은 지질의 일종이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8. 잎과 줄기의 발생과 초기 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잎차례는 눈이 싹트면서 결정된다.
② 눈 속에 잎과 가지의 원기가 있다.
③ 전형성층은 정단분열조직에서 발생한다.
④ 잎이 직접 달린 가지는 잎과 나이가 같다.
⑤ 소나무 당년지 줄기는 목질화되면 길이생장이 정지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9. 방사(수선)조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분을 저장한다.
② 2차생장 조직이다.
③ 중심의 수에서 사부까지 연결된다.
④ 방추형시원세포의 수층분열로 발생한다.
⑤ 침엽수 방사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에는 가도관세포가 포함된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70. 무기영양소인 칼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산성토양에서 쉽게 결핍된다.
② 심하게 결핍되면 어린순이 고사된다.
③ 펙틴과 결합하여 세포 사이의 중엽층을 구성한다.
④ 세포 외부와의 상호작용에서 신호전달에 필수적이다.
⑤ 칼로스(callose)를 형성하여 손상된 도관 폐쇄에 이용된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71. 도관이 공기로 공동화되어 통수기능이 손실되는 현상과 양(+)의 상관관계가 아닌 것은?
① 근압의 증가
② 벽공의 손상
③ 가뭄으로 인한 토양의 건조
④ 도관의 길이와 직경의 증가
⑤ 목부의 반복되는 동결과 해동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72. 버섯을 만드는 외생균근을 형성하는 수종으로 나열한 것은?
① 상수리나무, 자작나무, 잣나무
② 다릅나무, 사철나무, 자귀나무
③ 대추나무, 이팝나무, 회화나무
④ 왕벚나무, 백합나무, 사과나무
⑤ 구상나무, 아까시나무, 쥐똥나무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73. 토양의 건조에 관한 수목의 적응 반응이 아닌 것은?
① 기공을 닫아 증산을 줄인다.
② 잎의 삼투퍼텐셜을 감소시킨다.
③ 조기낙엽으로 수분 손실을 줄인다.
④ 휴면을 앞당겨 생장기간을 줄인다.
⑤ 수평근을 발달시켜 흡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74. 수분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발생하는 잎의 시듦(위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위조점에서 엽육세포의 팽압은 0이다.
② 위조점에서 엽육세포의 삼투압은 음(-)의 값이다.
③ 엽육세포의 팽압은 수분함량에 반비례하여 증가한다.
④ 위조점에서 엽육조직의 수분퍼텐셜은 삼투퍼센셜보다 작다.
⑤ 영구적인 위조점에서 엽육세포의 수분퍼텐셜은 -1.5MPa이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75. 지베렐린 생합성 저해물질인 파클로부트라졸을 처리했을 때 수목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① 조기낙엽을 유도한다.
② 줄기조직이 연해진다.
③ 신초의 길이 생장이 감소한다.
④ 잎의 엽록소 함량이 감소한다.
⑤ 꽃에 처리하면 단위결과가 유도된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30523 극동등에잎벌
| 나무의사 8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관리학(101~125) (3) | 2024.12.29 | 
|---|---|
| 나무의사 8회 필기 기출문제 산림토양학(76~100) (0) | 2024.12.28 | 
| 나무의사 8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해충학(26~50) (5) | 2024.12.27 | 
| 나무의사 8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병리학(1~25) (0) | 2024.12.25 | 
| 나무의사 7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관리학(101~140) (0)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