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 토양 입단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유기물은 토양입단 형성 및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② 나트륨이온은 점토입자들을 응집시켜 입단화를 촉진시킨다.
③ 다가 양이온은 점토입자 사이에서 다리역할을 하여 입단형성에 도움을 준다.
④ 뿌리의 수분흡수로 토양의 젖음-마름 상태가 반복되어 입단형성이 가속화된다.
⑤ 사상균의 균사는 점토입자들 사이에 들어가 토양입자와 서로 엉키며 입단을 형성한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77. 도시숲 토양에서 답압 피해를 관리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목 하부의 낙엽과 낙지를 제거한다.
② 토양 표면에 수피, 우드칩, 매트 등을 멀칭한다.
③ 토양 내에 유기질 재료를 처리하여 입단을 개선한다.
④ 토양에 구멍을 뚫고 모래,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등을 넣는다.
⑤ 나지 상태가 되지 않도록 초본, 관목 등으로 토양 표면을 피복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78. 토양 수분퍼텐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매트릭(기질)퍼텐셜은 항상 음(-)의 값을 갖는다.
② 토양수는 퍼텐셜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③ 수분 불포화 상태에서 토양수의 이동은 압력퍼텐셜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④ 중력퍼텐셜은 임의로 설정된 기준점보다 상대적 위치가 낮을수록 커진다.
⑤ 불포화 상태에서 토양수의 이동은 주로 매트릭(기질)퍼텐셜에 의하여 발생한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79. 부식에 대한 옳은 설명을 모두 고른 것은?
| ㄱ. 토양 입단화를 증진시킨다. ㄴ. 양이온교환용량을 증가시킨다. ㄷ. pH의 급격한 변화를 촉진한다. ㄹ. 모래보다 g당 표면적이 작다. ㅁ. 미량원소와 킬레이트 화합물을 형성한다. |
① ㄱ, ㄴ
② ㄱ, ㄴ, ㄹ
③ ㄱ, ㄴ, ㅁ
④ ㄱ, ㄴ, ㄹ, ㅁ
⑤ ㄴ, ㄷ, ㄹ, ㅁ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0. 산림토양 내 미생물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공생질소고정균은 뿌리혹을 형성하여 공중질소를 기주식물에게 공급한다.
② 사상균은 종속영양생물이기 때문에 유기물이 풍부한 곳에서 활성이 높다.
③ 한국 산림토양에서 방선균은 유기물 분해와 양분 무기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④ 조류(algae)는 독립영양생물로 광합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에서 풍부하게 존재한다.
⑤ 세균 중 종속영양세균은 가장 수가 많으며 호기성, 혐기성 또는 양쪽 모두를 포함하기도 한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1. 토양 산성화의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염기포화도 증가
② 유기물 분해 시 유기산 생성
③ 식물 뿌리와 토양 미생물의 호흡
④ 질소질비료의 질산화작용에 의한 수소이온 생성
⑤ 지속적인 강우에 의한 토양 내 교환성 염기 용탈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2. 토양 공기 중 뿌리와 미생물이 에너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대기와 조성비율 차이가 큰 기체는?
① 질소
② 아르곤
③ 이산화황
④ 이산화탄소
⑤ 일산화탄소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3. 토양의 교환성양이온이 아래와 같은 경우 염기포화도는?(단, 양이온교환용량은 16cmolc/kg)
| H+ = 3 cmolc/kg K+ = 3 cmolc/kg Na+ = 3 cmolc/kg Ca²+ = 3 cmolc/kg Mg²+ = 3 cmolc/kg Al³+ = 1 cmolc/kg |
① 19%
② 25%
③ 50%
④ 75%
⑤ 100%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4. 온대습윤 지방에서 주요 1차 광물의 풍화내성이 강한 순으로 배열된 것은?
① 휘석 > 백운모 > 흑운모 > 석영 > 회장석
② 흑운모 > 백운모 > 석영 > 휘석 > 각섬석
③ 백운모 > 정장석 > 흑운모 > 감람석 > 휘석
④ 석영 > 백운모 > 흑운모 > 조장석 > 각섬석
⑤ 석영 > 백운모 > 흑운모 > 정장석 > 감람석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5. 농경지토양과 비교하여 산림토양의 특성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미세기후의 변화는 농경지토양보다 적다.
② 낙엽과 고사근에 의해 유기물이 토양으로 환원된다.
③ 산림토양의 양분순환은 농경지토양에 비해 빠르다.
④ 산림토양의 수분 침투능력은 농경지토양보다 낮다.
⑤ 낙엽층은 산림토양의 수분과 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완충시킨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6. 토양조사를 위한 토양단면 작성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토양단면은 사면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판다.
② 깊이 1m 이내에 기암이 노출된 경우에는 기암까지만 판다.
③ 토양단면 내에 보이는 식물 뿌리는 원 상태로 남겨둔다.
④ 낙엽층은 전정가위로 단면 예정선을 따라 수직으로 자른다.
⑤ 임상이나 지표면의 상태가 정상적인 곳을 조사지점으로 정한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7. 토양생성 작용에 의하여 발달한 토양층 중 진토층은?
① A층 + B층
② A층 + B층 + C층
③ O층 + A층 + B층
④ O층 + A층 + B층 + C층
⑤ O층 + A층 + B층 + C층 + R층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8. 온난 습윤한 열대 또는 아열대 지역에서 풍화 및 용탈작용이 일어나는 조건에서 발달하며,
염기포화도 30% 이하인 토양목은?
① Oxisol
② Ultisol
③ Entisol
④ Histosol
⑤ Inceptisol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9. 기후 및 식생대의 영향을 받아 생성된 성대성 토양은?
① 소택 토양
② 암쇄 토양
③ 염류 토양
④ 충적 토양
⑤ 툰드라 토양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0. 한국 산림토양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 산림토양형은 8개이다.
② 토성은 주로 사양토와 양토이다.
③ 산림토양의 분류체계는 토양군, 토양아군, 토양형 순이다.
④ 토양단면의 발달이 미약하고 유기물 함량이 적은 편이다.
⑤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으로부터 생성된 산성토양이 주로 분포한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1. 수목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인의 형태는?
① 무기인산 이온
② 철인산 화합물
③ 칼슘인산 화합물
④ 불용성 유기태 인
⑤ 인회석(apatite)광물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2. 코어(200cm³)에 있는 300g의 토양 시료를 건조하였더니 건조된 시료의 무게가 260g이었다.
이 토양의 액상, 기상의 비율은 얼마인가?
(단, 토양의 입자밀도는 2.6g/cm³, 물의 비중은 1.0g/cm³로 가정한다.)
① 20%, 20%
② 20%, 25%
③ 20%, 30%
④ 30%, 20%
⑤ 30%, 30%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3. 토양 입자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토양의 성질이 아닌 것은?
① 교질물 구조
② 수분 보유력
③ 양분 저장성
④ 유기물 분해
⑤ 풍식 감수성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4. 토양 산도(acid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토양 산도는 활산도, 교환성 산도 및 잔류 산도 등 세 가지로 구분한다.
② 산림에서 낙엽의 분해로 발생하는 유기산은 토양의 산도를 감소시킨다.
③ 산림토양에서 pH값은 가을에 가장 높고, 활엽수림이 침엽수림보다 높다.
④ 산림에 있는 유기물층과 A층은 주로 산성을 띠고, 아래로 갈수록 산도가 감소한다.
⑤ 한국 산림토양은 모암의 영향도 있지만, 주로 강우 현상에 의한 염기용탈로 산성을 띤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5. 토양 질소순환 과정에서 대기와 관련된 것은?
| ㄱ. 질산염 용탈작용 ㄴ. 질산염 탈질작용 ㄷ. 암모니아 휘산작용 ㄹ. 미생물에 의한 부동화 작용 ㅁ. 콩과식물의 질소 고정작용 |
① ㄱ, ㄴ, ㄷ
② ㄱ, ㄴ, ㄹ
③ ㄱ, ㄷ, ㅁ
④ ㄴ, ㄷ, ㅁ
⑤ ㄴ, ㄹ, ㅁ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6. 균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근권 내 병원균 억제
② 식물생장호르몬 생성
③ 토양입자의 입단화 촉진
④ 난용성 인산의 흡수 촉진
⑤ 수목의 한발 저항성 억제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7.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 요소(urea)비료는 생리적 ( ㄱ ) 비료이며, 화학적 ( ㄴ ) 비료이고, 효과 측면에서는 ( ㄷ ) 비료이다. |
① (ㄱ) 산성, (ㄴ) 중성, (ㄷ) 속효성
② (ㄱ) 중성, (ㄴ) 산성, (ㄷ) 완효성
③ (ㄱ) 중성, (ㄴ) 중성, (ㄷ) 속효성
④ (ㄱ) 산성, (ㄴ) 염기성, (ㄷ) 완효성
⑤ (ㄱ) 중성, (ㄴ) 염기성, (ㄷ) 완효성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8. 특이산성토양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토양의 pH가 3.5이하인 산성토층을 가진다.
② 황화수소(H₂S)의 발생으로 수목의 피해가 발생한다.
③ 한국에서는 김해평야와 평택평야 등지에서 발견된다.
④ 담수상태에서 환원상태인 황화합물에 의해 산성을 나타낸다.
⑤ 개량방법은 석회를 시용하는 것이나 경제성이 낮아 적용하기 어렵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9. 토양의 특성 중 산불 발생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변화가 적은 것은?
① pH
② 토성
③ 유기물
④ 용적밀도
⑤ 교환성양이온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0. 산림토양에서 미생물에 의한 낙엽 분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낙엽에 의한 유기물 축적은 열대림보다 온대림에서 많다.
② 낙엽의 분해율은 분해 초기에는 진행이 빠르지만 점차 느려진다.
③ 주로 탄질비(C/N)가 높은 낙엽이 분해 속도와 양분 방출 속도가 빠르다.
④ 양분 이온들은 미생물의 에너지 획득 과정의 부산물로 토양수로 들어간다.
⑤ 낙엽의 양분 함량이 많고 적음에 따라 미생물에 의한 양분 방출 속도가 다르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30901 넓적배허리노린재
| 나무의사 9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병리학(1~25) (3) | 2024.12.29 |
|---|---|
| 나무의사 8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관리학(101~125) (3) | 2024.12.29 |
| 나무의사 8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생리학(51~75) (3) | 2024.12.28 |
| 나무의사 8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해충학(26~50) (5) | 2024.12.27 |
| 나무의사 8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병리학(1~25) (0) | 2024.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