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곤충의 일반적인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변태를 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가 용이하다.
② 몸집이 작아 최소한의 자원으로 생존과 생식이 가능하다.
③ 지구상에서 가장 높은 종 다양성을 나타내고 있는 동물군이다.
④ 내골격을 가지고 있어 몸을 지탱하고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다.
⑤ 날개가 있어 적으로부터 도망가거나 새로운 서식처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7. 곤충 분류체계에서 고시군(류) - 외시류 - 내시류에 해당하는 목(order)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좀목 - 잠자리목 - 메뚜기목
② 하루살이목 - 노린재목 - 벌목
③ 돌좀목 - 하루살이목 - 잠자리목
④ 잠자리목 - 딱정벌레목 - 파리목
⑤ 하루살이목 - 사마귀목 - 노린재목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8. 곤충 체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표면에 있는 긴털은 주로 후각을 담당한다.
② 원표피에는 왁스층이 있어 탈수를 방지한다.
③ 원표피의 주요 화학적 구성 성분은 키토산이다.
④ 허물벗기를 할 때는 유약호르몬의 분비량이 많아진다.
⑤ 단단한 부분과 부드러운 부분을 모두 가지고 있어 유연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9. 딱정벌레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부식아목에는 길앞잡이, 물방개 등이 있다.
② 다리가 있는 유충은 대개 4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
③ 대부분 초식성과 육식성이지만, 부식성과 균식성도 있다.
④ 딱지날개는 단단하여 앞날개를 보호하는 덮개 역할을 한다.
⑤ 대부분의 유충과 성충은 강한 입틀을 가지고 있고 후구식이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0. 곤충 눈(광감각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적외선을 식별할 수 있다.
② 겹눈은 낱눈이 모여 이루어진 것이다.
③ 완전변태를 하는 유충은 옆홑눈이 있다.
④ 낱눈에서 빛을 감지하는 부분을 감간체라 한다.
⑤ 대부분 편광을 구별하여 구름 낀 날에도 태양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1. 곤충 배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말피기관은 후장의 연동활동을 촉진한다.
② 배설과 삼투압은 주로 말피기관이 조절한다.
③ 육상 곤충은 일반적으로 질소를 요산 형태로 배설한다.
④ 수서 곤충은 일반적으로 질소를 암모니아 형태로 배설한다.
⑤ 진딧물의 말피기관은 물을 재흡수하며 소관 수는 종에 따라 다르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2. 곤충 내분비계 호르몬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유시류는 성충에서도 탈피호르몬을 지속적으로 분비한다.
② 앞가슴샘은 탈피호르몬을 분비하여 유충의 특징을 유지한다.
③ 알라타체는 내배엽성 배분비기관으로 유약호르몬을 분비한다.
④ 탈피호르몬 유사체인 메토프렌(methoprene)은 해충방제제로 개발되었다.
⑤ 신경호르몬은 곤충의 성장, 항상성 유지, 대사, 생식 등을 조절한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3. 곤충의 의사소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꿀벌의 원형춤은 밀원식물의 위치를 알려준다.
② 애반딧불이는 루시페린으로 빛을 내어 암·수가 만난다.
③ 일부 곤충에 존재하는 존스턴기관은 더듬이의 채찍마디(편절)에 있는 청각기관이다.
④ 복숭아혹진딧물은 공격을 받을 때 뿔관에서 경보페로몬을 분비하여 위험을 알려준다.
⑤ 매미는 복부 첫마디에 있는 얇은 진동막을 빠르게 흔들어 내는 소리로 의사소통한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4. 곤충 카이로몬의 작용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누에나방은 뽕나무가 생산하는 휘발성물질에 유인된다.
② 복숭아유리나방 수컷은 암컷이 발산하는 물질에 유인된다.
③ 포식성 딱정벌레는 나무좀의 집합페로몬에 유인된다.
④ 소나무좀은 소나무가 생산하는 테르펜(terpene)에 유인된다.
⑤ 꿀벌응애는 꿀벌유충에 존재하는 지방산 에스테르화합물에 유인된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5. 월동태가 알, 번데기, 성충인 곤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황다리독나방, 솔잎혹파리, 목화진딧물
② 외줄면충, 느티나무벼룩바구미, 호두나무잎벌레
③ 백송애기잎말이나방, 솔알락명나방, 복숭아명나방
④ 미국선녀벌레, 버즘나무방패벌레, 오리나무잎벌레
⑤ 소나무왕진딧물, 미국흰불나방, 버즘나무방패벌레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6. 곤충 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매미나방 유충은 씹는 입틀을 갖는다.
② 줄마디가지나방 유충은 배다리가 없다.
③ 아까시잎혹파리 성충은 날개가 1쌍이다.
④ 미국선녀벌레 성충은 찔러빠는 입틀을 갖는다.
⑤ 뽕나무이 약충은 배끝에서 밀랍을 분비한다.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7. 풀잠자리목과 총채벌레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총채벌레는 식물바이러스를 매개하기도 한다.
② 총채벌레는 줄쓸어빠는 비대칭 입틀을 가지고 있다.
③ 볼록총채벌레는 복부에 미모가 있고 완전변태를 한다.
④ 명주잠자리는 풀잠자리목에 속하며 유충은 개미귀신이라 한다.
⑤ 풀잠자리목 중에 진딧물, 가루이, 깍지벌레등을 포식하는 종은 생물적 방제에 활용되고 있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8. 곤충 신경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신경계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는 뉴런이다.
② 신경절은 뉴런들이 모여 서로 연결되는 장소를 일컫는다.
③ 뉴런이 만나는 부분을 신경연접이라 하며, 전기와 화학적 신경연접이 있다.
④ 신경전달물질에는 아세틸콜린과 GABA(Gamma-AminoButric Acid)등이 있다.
⑤ 뉴런은 핵이 있는 세포 몸을 중심으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축삭돌기와 내보내는 수상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9. 트랩을 이용한 해충밀도 조사방법과 대상 해충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유아등 - 매미나방
② 유인목 - 소나무좀
③ 황색수반 - 진딧물류
④ 말레이즈 - 벚나무응애
⑤ 성페로몬 - 복숭아명나방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0. 해충의 발생예찰을 위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① 발생량
② 발생 시기
③ 약제 종류
④ 해충 종류
⑤ 경제적 피해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1. 종합적 해충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연 사망요인을 최대한 이용한다.
② 잠재 해충은 미리 방제하면 손해다.
③ 일반평형밀도는 해충은 낮추고, 천적은 높이는 것이 해충밀도 억제에 효과적이다.
④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경제적 피해(가해)수준에서 방제한다.
⑤ 여러 가지 방제수단을 조화롭게 병용함으로써 피해를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이하에서
유지하는 것이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2. 벚나무 해충 방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벚나무모시나방은 집단 월동유충을 포살한다.
② 벚나무응애는 월동 시기에 기계유제로 방제한다.
③ 벚나무사향하늘소 유충은 성페로몬트랩으로 유인 포살한다.
④ 복숭아혹진딧물은 7월 이후에는 월동기주에서 방제하지 않는다.
⑤ 벚나무깍지벌레는 발생 전에 이미다클로프리드 분산성액제를 나무주사하여 방제한다.
정답 -> ③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3. 해충과 천적의 연결로 옳은 것은?
① 밤나무혹벌 - 남색긴꼬리좀벌
② 미국흰불나방 - 주둥이노린재
③ 복숭아명나방 - 긴등기생파리
④ 솔잎혹파리 - 독나방살이고치벌
⑤ 오리나무잎벌레 - 혹파리살이먹좀벌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4. A 곤충의 온도(X)와 발육률(Y)의 회귀식이 Y=0.05x - 0.5이다. 1년 중 7,8월에는 일일 평균 온도가
12℃이고, 그 외의 달은 10℃ 이하로 가정하면, A곤충의 연간 발생세대수는?
(단, 소수점 이하는 버린다.)
① 1회
② 2회
③ 4회
④ 6회
⑤ 8회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5. 해충의 기계적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부 깍지벌레류는 솔로 문질러 제거한다.
② 해충이 들어있는 가지를 땅속에 묻어죽인다.
③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은 두께 1.5cm 이하로 파쇄한다.
④ 광릉긴나무좀 성충과 유충은 전기충격으로 제거한다.
⑤ 주홍날개꽃매미나 매미나방은 알 덩어리를 찾아 문질러 제거한다.
정답 -> 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6. 병원균 매개충과 충영을 형성하는 해충 순으로 나열한 것은?
① 광릉긴나무좀 - 외줄면충
② 솔수염하늘소 - 목화진딧물
③ 장미등에잎벌 - 큰팽나무이
④ 알락하늘소 - 때죽납작진딧물
⑤ 벚나무사향하늘소 - 조팝나무진딧물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7.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은?
① 도토리거위벌레, 전나무잎응애
② 복숭아명나방, 오리나무잎벌레
③ 솔알락명나방, 호두나무잎벌레
④ 대추애기잎말이나방, 버들바구미
⑤ 백송애기잎말이나방, 도토리거위벌레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8. 곤충의 과명 - 목명 연결이 옳은 것은?
① 솔잎혹파리 - Cecidomyiidae - Diptera
② 솔나방 - Lasiocampidae - Hymenoptera
③ 오리나무잎벌레 - Diaspididae - Coleoptera
④ 갈색날개매미충 - Ricaniidae - Lepidoptera
⑤ 벚나무깍지벌레 - Chrysomelidae - Hemiptera
정답 -> 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9. 갈색날개매미충과 미국선녀벌레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미국선녀벌레 약충은 흰색 밀랍이 몸을 덮고 있다.
② 갈색날개매미충은 1년에 1회 발생하며, 알로 월동한다.
③ 갈색날개매미충은 잎과 어린 가지 등에서 수액을 빨아먹는다.
④ 갈색날개매미충의 수컷은 복부 선단부가 뾰족하고, 암컷은 둥글다.
⑤ 미국선녀벌레는 1년생 가지 표면을 파내고 2열로 알을 낳는다.
정답 -> 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해충을 <보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 ㄱ. 수피와 목질부 표면을 환상으로 가해한다. ㄴ. 기주전환을 하며 쑥으로 이동하여 여름을 난다. ㄷ. 유충이 겨울눈 조직 속에서 충방을 형성하여 겨울을 난다. ㄹ. 바나나 송이 모양의 황록색 벌레혹을 만들고 그속에서 가해한다. |
① 박쥐나방 - 복숭아혹진딧물 - 붉나무혹응애 - 밤나무혹벌
② 박쥐나방 - 사사키잎혹진딧물 - 밤나무혹벌 - 때죽납작진딧물
③ 알락하늘소 - 목화진딧물 - 때죽납작진딧물 - 사철나무혹파리
④ 복숭아유리나방 - 사사키잎혹진딧물 - 큰팽나무이 - 솔잎혹파리
⑤ 복숭아유리나방 - 조팝나무진딧물 - 사사키잎혹진딧물 - 큰팽나무이
정답 -> 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30217 곰솔 겨울눈
| 나무의사 8회 필기 기출문제 산림토양학(76~100) (0) | 2024.12.28 |
|---|---|
| 나무의사 8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생리학(51~75) (3) | 2024.12.28 |
| 나무의사 8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병리학(1~25) (0) | 2024.12.25 |
| 나무의사 7회 필기 기출문제 수목관리학(101~140) (0) | 2024.12.24 |
| 나무의사 7회 필기 기출문제 산림토양학(76~100) (0) | 202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