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충탐구

무턱대고 벌레탐구 십삼. 미국흰불나방

반응형

미국흰불나방은 우리나라에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나무의사 공부할때 심각한 해충으로 공부를 하긴 했지만 실제 눈으로 피해를 본적은 없었는데 

 

올해 여름에 미국흰불나방을 관찰해본 결과 정말 큰 문제이다. 정말 굉장히 아주 몹시 대단히 큰 문제이다.

 

길거리를 지나가다가 어깨위에 미국흰불나방유충을 달고 다닌적도 있고 

 

버스정류장에서 무릎에 살포시 올라와있던 적도 있다. 

 

그리고 호숫가근처 식당에서 밥을 먹는데 신나게 탁자위를 돌아다니고 있었다.  

 

▲ 2023.07. 10. 수원 성균관대역 근처. 미국흰불나방 유충

▲ 2023. 08.23. 왕송호수 2화기 성충(수컷) 

미국흰불나방은 성충의 암수더듬이가 다르다. 수컷은 깃털모양, 암컷은 톱니모양

▲ 2023. 08.24. 왕송호수 짝짓기중인 미국흰불나방(밑에 살포시 보이는 수컷의 머리)

▲ 2023. 08.24. 왕송호수 짝짓기중인 미국흰불나방

비록 포커스는 나갔지만 자세히 보면 아래가 수컷(더듬이가 깃털모양), 위가 암컷(톱니모양)으로 생각해볼수있다.

▲ 2023.09. 21. 왕송호수. 미국흰불나방 유충.  날짜로 보아 3화기로 추정된다.

미국흰불나방의 피해모습은 그냥 미쳤다고 보면 된다. 징그러움의 최상급이다.

 

★ 여기서 잠깐!!  곤충의 더듬이에 대해 외워보자!!

1) 실모양(사상) : 딱정벌레류바퀴류실베짱이류하늘소류

2) 짧은털모양(강모상) : 잠자리류매미류

3) 방울모양(구간상) : 밑빠진벌레나비류

4) 구슬모양(염주상) : 흰개미류

5) 톱니모양(거치상) : 방아벌레류비단벌레향나무 하늘소

6) 방망이모양(곤봉상) : 송장벌레 및 무당벌레

7) 아가미모양(새상) : 풍뎅이류

8) 빗살모양(즐치상) : 홍날개류잎벌류뱀잠자리류

9) 팔굽모양(슬상) : 바구미류 및 개미류

10) 깃털모양(우모상) : 나방류(일부 수컷), 모기류

11) 가시털모양(자모상) : 집파리류

 

★ 여기서 또 잠깐!!! 외래해충을 외울때 빠질수없는 미국흰불나방

2002년 - 아까시잎혹파리  2004년 - 주홍날개꽃매미  2006년 - 미국흰불나방  2009년 - 갈색날개매미충

아주미갈! 아주미갈! 아주미갈!

 

★ 미국흰불나방 ★ 

<학명>

- Hyphantria cunea (학명이 아직도 기억난다. 하이판트리아 쿠네아 라고 외웠음)

 

<목명/과명>

- 나비목 불나방아과

 

<기주>

- 그냥 모든 활엽수, 먹을게 없으면 침엽수까지 침범, 3화기까지 지켜본결과 주목에도 향나무에도 덕지덕지 붙어있었다. 

 

<피해>

- 유충이 어릴때 실을 토해 잎을 싸고 집단으로 모여서 갉아먹다가 5령기 이후에 분산해 잎맥을 제외한 잎전체를 갉아먹는다. 거미줄로 인해 미관을 엄청나게 해치며 피해는 산림보다 가로수, 조경수, 정원수 등의 도시숲에서 심하다. 1화기보다 2화기의 피해가 심하다. 날씨에 따라 3화기도 나타날수있다. 올해는 나타난걸로 내 두눈으로 지켜보았다!

 

<형태>

- 성충은 몸과 날개가 새하얀색으로 1화기 성충에만 날개에 검은 점이 있다.(1화기 성충을 구경도 못한채 바로 2화기 유충들의 바글거림을 발견... )

노숙유충은 몸길이가 약 30mm라고 향문사 책에 나와있지만 내가 봤을때는 50mm넘는것도 무수히 발견 ^_^

몸 각 마디의 등에는 검은색 돌기가, 양 옆에는 황갈색 돌기가 있으며, 짧은 검은색 털과 긴하얀색의 털이 뺵뺵이 나 있다.

(하얀 털이 부숭부숭한 애벌레가 벚나무에서 엄청 빠르게 움직이면 거의 미국흰불나방이라고 보면된다... 빠르기는 개빠름)

 

<생활사>

1년에 2~3회 발생하나 보통 2회 발생, 수피사이나 지피물 밑등에서 고치를 짓고 그속에서 번데기 월동

1화기 성충은 5월중순~6월상순에 나타나 잎뒷면에 600~700여개의 알을 무더기로 낳는다. 우화시각은 오후 6~7가 보통이며 주로 밤에 활동하고 주광성이 강하며 성충의 수명은 4~5일이다.(그래서 성충은 발견하기 힘들고 주로 유충떼만 발견됨)

 

<방제법>

1. 화학적 방제

- 발생초기에 적당한 약제를 나무주사한다. 혹은 수간살포한다. 

 

2. 생물적 방제

어린 유충기에 곤충병원성 미생물인 Bt균이나 핵다각체병바이러스를 살포한다.

꽃노린재류, 검정명주딱정벌레, 흑선두리먼지벌레, 납작선두리먼지벌레, 무늬수중다리좀벌, 긴등기생파리등의 천적을 보호한다.

 

3. 물리적 방제

- 월동하는 번데기를 채취하여 제거한다.

- 5월상순~8월중순에 알덩어리가 붙어있는 잎을따서 소각한다.

- 피해 초기에 유충이 집단으로 모여서 가해하는 잎을 제거하거나 유충을 잡아죽인다.

- 성충 활동기에 유아등이나 포충기를 이용하여 성충을 유인하여 죽인다.

- 유충이 월동장소를 찾아 나무줄기를 타고 땅으로 내려올때 볏짚등을 미리 나무줄기에 감아두고 유인, 잠복시킨후 다음해 봄에 설치물과 함께 소각하는 잠복장소 유살법을 실시한다.

 

< 농약안전정보시스템 등록제품 >

농약제품목록(미국흰불나방).xlsx
0.17MB

  

 

※ 출처 : 산림청 병해충검색, 조경수 병해충도감(저자 나용준), 수목해충학(향문사), 나무 병해충도감(저자 문성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