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8) 썸네일형 리스트형 무턱대고 나무탐구 사. 층층나무 5월 1일 층층나무 꽃5월 1일 층층나무 꽃5월 1일 층층나무 꽃7월 27일 층층나무 잎8월 14일 층층나무 열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9월 20일 층층나무 열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층층나무 수피(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층층나무 ★ * Cornus controversa Hemsl. *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교목 낙엽 활엽 * 양성화* 꽃은 백색으로 5~6월에 지름이 5~12㎝로 작은 꽃들이 뭉쳐 하나를 이루며 새로 나온 가지 끝에 달린다. * 어긋나기(말채나무, 산수유의 잎은 마주나기로 구분할 수 있다.)* 잎은 길이가 5~12㎝, 폭이 3~8㎝로 표면은 녹색이고 어릴 때 털이 약간 있고, 뒷면은 백색으로 잔털이 빽빽하게 나 있으며 넓은 난형으로 어긋난다.* 엽맥은 6~7쌍 .. 무턱대고 나무탐구 삼. 산수유 4월 2일 산수유 꽃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4월 11일 산수유 꽃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3월 17일 산수유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8월 17일 산수유 잎8월 17일 산수유 덜 익은 열매11월 20일 산수유 빨갛게 익은 열매11월 20일 산수유 수피 ★ 산수유 ★ *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낙엽 활엽 소교목 * 마주나기하며 달걀형* 잎 뒷면은 연한 녹색 또는 흰빛이 돌며 맥 겨드랑이에 갈색 털이 있다.* 잎맥이 5~7쌍 * 양성화 3~4월에 잎보다 먼저 개화하고 노란색이며 우산모양꽃차례에 20~30개의 꽃이 달린다. * 열매는 핵로 긴 타원형이며 붉은색으로 익고 시고 떫은 맛이 난다.*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8~1.. 무턱대고 나무탐구 이. 풍년화 3월 16일 풍년화 꽃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7월 5일 풍년화 잎8월 17일 풍년화 잎 뒷면8월 17일 풍년화 어린 열매10월 25일 벌어진 열매11월 15일 겨울눈풍년화 수피(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풍년화 ★ * Hamamelis japonica Siebold & Zucc. * 조록나무과 풍년화속* 낙엽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 잎은 어긋나기로 약간 찌그러진 마름잎과 비슷한 타원형 * 중앙 이하에는 톱니가 없으나 윗부분에는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고 질이 두껍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주름이 약간 있고 뒷면이 평활하며 짧은 엽병에 성모가 있다. * 4월에 잎보다 먼저 노란색꽃이 만발하고 가지마다 꽃이 가득 찰 만큼 많이 핀다고 해서 일본에서는 만작이라고도 하며 꽃은 전년지 가지의 잎겨드.. 무턱대고 나무탐구 일. 산딸나무 ★ 산딸나무 ★ * Cornus kousa *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교목 낙엽활엽수 * 마주나기* 타원형 또는 난형(달걀형)* 엽맥은 4~5쌍 * 양성화* 6∼7월에 긴 꽃자루 끝에 25∼35개의 담황색 작은꽃이 둥글게 모여 핀다.* 대형의 꽃잎처럼 보이는 흰색의 총포편이 4개 있다 (총포편 : 꽃차례의 기부에 여러 개의 포엽이 뭉쳐서 형성된 총포의 각 포엽. 꽃이 발육하는 동안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 구형이며, 적색* 단맛이 나고 식용한다.* 9~10월에 나타난다. * 회갈색 또는 흑갈색* 불규칙한 원형의 백색 피목이 뚜렷하다* 세로로 갈라진다. * 산에서 자라며, 익은 열매의 모양이 딸기와 비슷해서 산에서 나는 딸기라 하여 산딸나무라 부른다. 출처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무턱대고 해충탐구 삼십구. 감나무잎말이나방 감나무잎말이나방 종령유충(산림청)감나무잎말이나방 번데기(산림청)감나무잎말이나방 성충 ★ 감나무잎말이나방 ★ * Ptycholoma lecheana * 나비목 / 잎말이나방 * 벚나무류, 단풍나무류, 느티나무, 감나무, 버드나무류 등 * 유충은 접힌 잎 속에서 살며 그 속에서 잎을 갉아먹는다. * 유충 18mm내외, 성충 18~25mm* 유충이 어릴 때는 머리와 앞가슴이 검은색이나 종령이 되면 머리는 엷은 주황색으로 변하고 앞가슴 뒷부분에 검은 테두리가 생긴다.* 성충 앞날개는 적갈색이고 금속성 은빛 띠무늬가 있다.* 수컷은 전연 기부에 주름무늬가 있고 암컷은 없다. * 자세한 생태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연 1회 발생하고 유충으로 월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유충은 잎을 접어서 통로 같은 방을 만들.. 무턱대고 해충탐구 삼십팔. 큰붉은잎밤나방 큰붉은잎밤나방 유충 큰붉은잎밤나방 번데기(산림청)큰붉은잎밤나방 성충(산림청) ★ 큰붉은잎밤나방 ★ * Anomis privata * 무궁화, 부용 * 유충은 주맥만 남기고 잎을 전부 갉아먹으며 특히 8~9월에 피해가 심하게 나타난다. * 유충 40~45mm내외, 성충 36mm~46mm* 유충은 어릴 때는 녹색이고 양 옆으로 가는 노란색 줄과 작은 점이 있으나 자라면서 회갈색으로 변해 나뭇가지처럼 보인다.* 종령유충의 머리 뒤쪽에 노란 가로줄이 있다.* 성충 앞날개는 주황색인 것과 갈색인 것이 있다. * 자세한 생태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연 2회 이상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8~9월에 피해가 심하다. * 유충 6~9월, 성충 7~10월, 이듬해 5~6월 * 유충 발생 초기에 비티아이자와이 입.. 무턱대고 해충탐구 삼십칠. 조팝나무 진딧물 조팝나무의 조팝나무진딧물 피해 ★ 조팝나무진딧물 ★ * Aphis spiraecola Patch * Spiraea aphid * 노린재목 / 진딧물과 * 조팝나무류, 모과나무, 명자나무, 벚나무류, 산사나무, 유자나무 등 많은 활엽수를 가해한다. * 성충과 약충이 새로 나온 가지와 잎에 집단으로 모여 즙액을 빨아먹으므로 가지의 생장이 저해되고, 잎은 뒷면으로 말리며 여름에 일찍 떨어진다.* 사과나무·배나무·귤나무 등의 과수를 가해하는 주요해충이고 각종 바이러스를 매개하며, 밀도가 증가하면 배설물에 의한 부생성 그을음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 무시충은 몸길이가 1.5~2mm이며, 머리·가슴·배는 녹황색이고 뿔관과 끝편은 검은색이다.* 그러나 변이가 심해서 배가 황갈색 또는 적갈색을 띠는 개체도 있다.*.. 무턱대고 해충탐구 삼십육. 목화진딧물 무궁화의 목화진딧물 피해사진 ★ 목화진딧물 ★ * Aphis gossypii Glover * Cotton aphid * 노린재목 / 진딧물과 * 감나무, 무궁화, 개오동나무 등 다양한 수종* 특히 이른 봄에 무궁화에서 피해가 크게 발생하고 있다. * 성충과 약충이 새 가지와 잎 뒷면에서 즙액을 빨아먹어 잎이 위축되고, 2차적으로 부생성 그을음병을 유발하며 식물바이러스를 매개한다.* 오이류, 수박, 고추 등 각종 농작물의 주요 해충이기도 하다. * 무시형 성충은 몸길이가 1~2mm이고 몸색깔은 밝은 녹색, 어두운 녹색이 일반적이지만 하얀색, 노란색, 녹색 등 기주와 계절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유시형 성충은 몸길이가 1.1~1.7mm로 머리와 가슴은 검은색이고 배는 녹색 또는 황록색 바탕에.. 이전 1 2 3 4 5 ··· 20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