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58)
무턱대고 해충탐구 이십. 노랑배허리노린재 노랑배허리노린재 성충노랑배허리노린재 약충  이름 그대로 노랑배를 가진 노린재 ^_^ ★ 노랑배허리노린재 ★  * Plinachtus bicoloripes Scott * 노린재목 / 허리노린재과 화살나무, 사철나무, 참빗살나무, 회나무, 노박덩굴류 * 성충의 몸길이는 15mm 정도이고 등면은 균일한 흑갈색이고 더듬이는 4마디로 되어 있으며 연한 갈색이다.* 배는 황색 또는 황록색이며 검은 무늬가 있고 다리는 흑갈색으로 넓적다리마디의 가운데는 황색 부분이 넓다. * 약충과 성충이 잎과 열매를 흡즙하나 특히 열매에 많이 모여 흡즙한다. * 자세한 생태는 조사된 바 없으며 7월에 약충, 8월에 성충의 밀도가 높다. * 알을 잡아먹는 포식성 천적 무당벌레류, 풀잠자리류, 거미류 등을 보호한다.    ※ 출처 : ..
무턱대고 해충탐구 십구. 이팝나무 혹응애 이팝나무 혹응애 피해사진  ★ 이팝나무 혹응애 ★   * 이팝나무 * 이팝나무의 가지에 자그마한 벌레혹이 생기며, 벌레혹 표면은 거칠고 녹색, 붉은색, 갈색 순으로 변색된다.* 잎이 달리는 작은 가지에 벌레혹이 발생될 경우 잎은 오그라들면서 기형이 되고, 작은 가지에 많은 벌레혹이 발생하면 가지가 말라죽는다. * 성충은 몸길이가 약 0.3mm이고 구더기형이며 담황색을 띤다. * 정확한 생태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4월 중순부터 녹색 벌레혹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 4월부터 피리다펜티온 유제 1,000배액을 2주 간격으로 2회 이상 살포한다.   ※ 출처 : 네이버 나무 병해충 도감
무턱대고 해충탐구 열여덟. 구기자혹응애 구기자 혹응애 피해사진 ★ 구기자 혹응애 ★  * Eriophyes macrodonis Keifer * 거미강응애목 / 혹응애과 * 구기자나무 * 구기자나무 잎에 기생하여 직경 2mm 내외의 둥근 벌레혹을 만들고 그 안에서 서식하며 가해한다.* 벌레혹이 있는 잎의 표면은 볼록하게 융기하여 중심부는 움푹 들어가 뱀눈 모양을 하고 있다.* 벌레혹의 개구는 잎의 뒷면에 많다.* 많이 발생하게 되면 꽃도 떨어지고 열매도 일찍 떨어진다.* 대발생했을 때는 생산량이 34% 정도 떨어지게 된다.* 피해 입은 나무는 가지가 짧아지고 가해한 잎 색깔이 변하며 모양이 불규칙하게 된다. * 암컷 성충의 몸길이는 0.17~0.18mm이고 폭은 0.065mm이며 방추형에 가깝고 몸은 노란색을 띤다.* 겨울을 나는 암컷은 몸길이..
무턱대고 해충탐구 십칠.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피해양상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유충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성충  ★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 *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 Lager potato lady beetla * 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 * 한국,일본,중국,타이완,러시아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북지역에 주로 분포하는데 야산과 인접한 곳에서 흔히 발생한다.* 이른 봄부터 늦가을까지 성충과 유충이 구기자나무의 잎 뒷면에서 잎맥만 남기고 표피 이외의 잎살을 갉아먹어 그물 모양의 식흔을 남긴다. * 가해부위는 초기에 회백색을 띠지만 시일이 경과하면 갈색으로 변한다. 성충 1마리의 섭식량이 많아 피해가 매우 크고, 유충의 섭식량도 영기가 지날수록 증가한다. * 성충은 몸길이가 암컷이 7.5..
무턱대고 수목병탐구 이. 산수유 두창병 ★ 산수유 두창병 ★  * Elsinoe corni Jenkins & Bitancourt * 산수유나무, 층층나무, 말채나무, 산딸나무 * 산수유나무의 성목의 경우에는 수세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묘목의 경우에는 생장을 크게 저해하여 피해가 심각하다. * 이른 봄에 새롭게 자란 잎에서 갈색원형의 병반이 많이 관찰된다. * 잎에 생긴 갈색 원형의 병반 중앙부는 점점 하얗게 변하고, 결국에는 부스러져서 갈라진다.* 병반이 엽맥 주변에 다수 발생하며, 주맥이 침해되면 오그라들면서 기형이 된다.* 이후 여러 개의 갈색 병반이 합쳐지며 쭈그러들어 커다란 병반이 형성되기도 한다.* 잎자루에서도 적갈색의 원형 병반들을 볼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되면 부풀어 표면이 거칠어진다. * 병원균은 병든 잎, 가지, 눈..
무턱대고 수목병탐구 일. 철쭉떡병 ★ 철쭉 떡병 ★ * 철쭉류와 진달래류에서 흔히 발생하는데, 특히 정원목으로 심은 경우에는 심하게 발생하여 관상가치를 떨어뜨리고 나무의 일부분이 죽는다. 해에 따라 발병량에 큰 차이를 보이는데, 봄비가 잦은 해에는 많이 발생한다. * Exobasidium spp. * 4월 말부터 잎과 꽃눈이 국부적으로 비후 되면서 흰색의 덩어리로 변한다.* 이는 감염됨 조직의 세포가 이상증식 및 이상비대 된 결과이며, 처음에는 광택이 있으나 곧바로 담자기와 담자포자가 밀생하여 흰 가루로 뒤덮인 듯하고 햇빛이 쬐는 면은 안토시아닌 색소가 발달하며 핑크색으로 변한다.* 이러한 흰 부분이 때로는 흑회색으로 변하는 것은 Cladosporium 류의 곰팡이가 부생적으로 자란 때문이다.* 병원균은 병든 부분의 줄기나 눈의 세포간극..
나만의 나무의사 공부법. 수목생리학 - 식물세포의 구성 식물세포의 특이점 : 세포벽, 엽록체, 액포 1 ) 핵- 핵은 세포의 생명활동을 조절하는 중심으로 DNA를 가지고 있어 세포의 생명활동, 증식, 유전 등에 중요한 역할- 염색사, 인, 핵막(이중막)으로 구성- 염색사는 DNA와 히트노 단백질로 구성(간기에는 염색사, 분열기에는 염색사가 응축되어 염색체로 관찰)- 인은 단백질과 RNA로 구성 -> 리보솜 합성 2 ) 세포질- 세포질은 핵을 둘러싸고 있는 부분으로서,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액포 등 여러 가지 세포 내 소기관들을 포함 3 ) 세포벽- 세포벽의 주성분은 셀룰로오스이며 세포막보다 두껍고 세포를 보호하며 모양을 유지- 세포막은 반투과성이지만 세포벽은 전투과성이여서 모든 물질을 투과시키므로 선택적 투과성이 없음 4 ) 세포막- 세포막의 주성분은 인지..
나만의 나무의사 공부법. 수목병리학 - 수목병해의 진단 ( 1 ) 진단의 정의- 진단 : 기주에 나타나는 표징과 병징 등으로부터 병의 원인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정밀한 검사를 통하여 유사한 병과 구별하여 적절한 병명을 결정하는 것 ( 2 ) 생물적 요인에 의한 수목병의 진단- 생물적 요인에 의한 수목병은 수목, 병원균 및 환경에 의해 시간이 경과되면서 발달된다. ( 3 ) 비생물적 요인에 의한 수목병의 진단- 비생물적 장해는 물리적인 상처에 의한 것과 매우 유사하여 병징이 발현되는 시간도 빠르면 몇 시간으로 짧은 편이며, 보통 며칠(1~3일)이내에 균일한 증상이 급작스럽게 나타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비기생성 수목병- 어떤 증상이 비기생성 원인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을 증명하려면, 우선 이상이 나타난 그 부위에 바이러스나 파이토플라즈마 또는 뿌리에 이상을 일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