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71)
나만의 나무의사 공부법. 수목병리학 - 바이러스에 의한 수목병해 바이러스에 의한 수목병해 ( 1 ) 바이러스와 바이로이드의 발견-‘살아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고, 기주생물에 병을 일으킬수있는 감염성을 지닌 핵단백질 입자’- 광학현미경으로볼수없지만 전자현미경으로 볼 수 있다..- 세계최초로 발견된 바이러스는 식물바이러스인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TMV)- 1886년 mayer가 모자이크병의 병원체를 세균이라 생각하고 모자이크병이라 불렀다.- 1892년 Iwanosky는 모자이크병에 걸린 담배 잎의 즙액이 세균여과기를 통과한 후에도 감염력이 유지된다는 것을 밝혀 여과성병원체의 존재를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1898년 Beijerinck는 위와 비슷한 실험 끝에 세균보다 훨씬 작은 형태의 병원체가 존재한다고 결론지었는데 나중에 라틴어로 병독을 뜻하는 바이러스라고 부르게 되었..
나만의 나무의사 공부법. 수목병리학 - 선충에 의한 수목병해 수목에 의한 수목병해- 선충문(Nematode)에 속하는 무척추 하등동물이다.- 식균성, 식세균성, 포식성, 잡식성, 식물기생성, 곤충기생성 등으로 나누어진다.- 식물기생선충을 제외한 토양선충을 부생선충이라고 한다.- 식물선충은 구강형,식도형 두 종류의 구침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고등식물에 기생하는 식물기생선충을 가리키나 균류를 가해하는 식균선충이 포함되기도 한다.- 수목의 피해는 식물선충의 기생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가 대부분이다. ( 1 ) 선충의 형태 - 일반적으로 암수딴몸이지만 암수한몸인 종도 있다(암수의 형태가 다르기도 하며 다양함)- 선충의 몸은 부드럽고 투명한 막으로 된 큐티클(각피)로 덮여있다.- 각피에는 가로무늬의 환문, 세로무늬의 종문이 있다.- 각피 바로밑에는 얇은 층의 진피, 진피 ..
나만의 나무의사 공부법. 수목병리학 -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수목병해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수목병해 -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형태(몰리큐트강)인 마이코플라스마, 스피로플라스마- 마이코플라스마는 동물병원성미생물, 파이토플라스마는 식물병원균이다.- 마이코플라스마는 원핵생물계 몰리큐트강, 1898년 프랑스에서 사람과 가축의 병원체로 발견되었다.- 파이토플라스마는 인공배양할 수 없고 마이코플라스마,스피로플라스마는 인공배양이 가능하다.- 감귤스터본병(Spiroplasma citri), 옥수수 위축병(S.kunkellii)의 인공배양이 보고되어 있다.. ( 1 ) 파이토플라스마의 특성 및 진단- 바이로이드바이러스파이토플라스마세균곰팡이- 진정한 세포벽을 갖지 않으며,, 일종의 원형질막으로만 둘러싸인 세포질이 있다.- 리보솜과 핵물질 가닥이 존재하며, 염색체 DNA의 크기는 다양하다. ..
나만의 나무의사 공부법. 수목병리학 - 세균병해 세균에 의한 수목병해 - 단세포생물인 세균은 유전물질인 DNA가 막을 둘러싸여있지 않은 원핵생물(진핵생물은 핵막이 있고 원핵생물은 핵막이 없다)- DNA와 작은 리보솜(70s)이 있는 세포질로 이루어져 있다.(리보솜은 단백질을 합성하는 기관, 70s는 침강계수, 진행생물은 80s로 비중이 더 크다)- 1878년 미국의 부릴이 사과나무불마름병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발견했다.- 총세균 9,000여종의 2%정도인 180여종이 식물에 병을 일으킨다.- 선모는 세균에 부착된 것으로 편모보다 가늘다 ( 1 ) 세균의 분류- Bergey manual에 따라 분류구분특징종류Gram 양성균세포벽에 두꺼운 펩티도글리칸 층이 있음(80~90%)외막이 없음염색시 보라색을 띔(아이오딘)Corynebacterium 계열 5개속(A..
나무의사 관련 법령 ■ 산림보호법 시행령 [별표 1의3] 나무의사 등의 자격취소 및 정지처분의 세부기준(제12조의7 관련)1. 일반기준    가. 위반행위의 횟수에 따른 행정처분기준은 최근 3년 동안 같은 위반행위로 행정처분을 받은 경우에 적용한다.          이 경우 기간의 계산은 위반행위에 대하여 행정처분을 받은 날과 그 처분 후 다시 같은 위반행위를 하여          적발된 날을 기준으로 한다.     나. 가목에 따라 가중된 행정처분을 하는 경우 가중처분의 적용 차수는 그 위반행위 전 부과처분 차수(가목에 따른          기간 내에 행정처분이 둘 이상 있었던 경우에는 높은 차수를 말한다)의 다음 차수로 한다.     다. 위반 행위가 둘 이상인 경우로서 그에 해당하는 각각의 처분기준이 다른 경우에는 그..
2025년도 산림병해충 예찰·방제계획 매년 꾸준히 산림관리학에 한두문제씩 출제되고 있는 2025년도 산림병해충 예찰·방제계획 한두문제라고 우습게 여기다가 눈물을 흘릴 수 있다... 시간이 없어서 전체 다 보지 못할 것 같으면 그동안의 기출문제를 벗삼아 나올 거 같은 부분을 눈에 익히게 자주 봐두면 좋다. 10회 수목관리학에 출제 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지침도 같이 올려둔다.       산림청 - 정보공개 > 통합자료실 > 통합자료실 > 2025년 산림병해충 예찰·방제계획 통합자료실 > 통합자료실" data-og-description="산림청 - 정보공개 > 통합자료실 > 통합자료실" data-og-host="www.forest.go.kr" data-og-source-url="https://www.forest.go.kr/kfsweb/cop/b..
나무의사 공부법. 수목관리학(비생물적 피해) - 수목의학 수목에 비전염성병을 일으키는 요인 >요인내용기상적요인1.고온(엽소,피소), 2.저온(냉해, 동해, 서리, 서릿발, 상렬, 동계피소, 동계건조),3.기후변화 동계건조,가뭄, 4 .바람, 5.침수, 6.조풍, 7.해일, 8.폭설,우박, 9.낙뢰, 10.일조량부족토양적요인1.건조, 2.과습, 3.양분결핍, 4.극단적인 토양산도, 5.중금속, 유독가스유출생물적요인1.만경식물, 2.착생식물, 3.동물인위적요인1.답압, 2.도로포장, 3.기계와 장비, 4.휘감는 뿌리, 제한된 뿌리, 5.심식, 6.복토와 석축,7.절토, 8.대기오염, 9.농약, 비료(과비), 10.잘못된 가지치기, 11.해빙염12.유해가스, 13.건물세척제와 화학물질, 14.불, 15.접목불화합성, 16.이식후유증조경수나 노거수는 인간의 인위적피해..
나만의 나무의사 공부법. 수목병리학 - 곰팡이 병해(잎에 발생하는 병해) 병원균이 각피 또는 개구조직을 통하여 엽육조직내에 침입한 후 세포의 괴사를 동반하여 발병한다.( 1 ) 총생균강(Hyphomycetes)에 의한 병 ㄱ. Cercospora에 의한 병 - (느삼포무명벚소배족때모두멀쥐) - 느티나무 갈색무늬병- 삼나무 붉은마름병- 포플러 갈색무늬병- 무궁화 점무늬병- 명자나무 점무늬병- 벚나무 갈색무늬구멍병- 소나무잎마름병- 배롱나무 갈색무늬병- 족제비싸리 점무늬병- 때죽나무 점무늬병- 모과나무 점무늬병- 두릅나무 뒷면모무늬병- 멀구슬나무 갈색무늬병- 쥐똥나무 둥근무늬병- 불완전균아문 총생균강 총생균목- 과거에는 1속이었으나 20개속 이상 세분화되었다.- 유성세대는 자낭균아문 소방자낭균강(이중벽) 갈반병균목의 Mycosphaerella속이다.- 벚나무 갈색무늬구멍병, 모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