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70)
무턱대고 수목병탐구 이. 산수유 두창병 ★ 산수유 두창병 ★  * Elsinoe corni Jenkins & Bitancourt * 산수유나무, 층층나무, 말채나무, 산딸나무 * 산수유나무의 성목의 경우에는 수세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묘목의 경우에는 생장을 크게 저해하여 피해가 심각하다. * 이른 봄에 새롭게 자란 잎에서 갈색원형의 병반이 많이 관찰된다. * 잎에 생긴 갈색 원형의 병반 중앙부는 점점 하얗게 변하고, 결국에는 부스러져서 갈라진다.* 병반이 엽맥 주변에 다수 발생하며, 주맥이 침해되면 오그라들면서 기형이 된다.* 이후 여러 개의 갈색 병반이 합쳐지며 쭈그러들어 커다란 병반이 형성되기도 한다.* 잎자루에서도 적갈색의 원형 병반들을 볼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되면 부풀어 표면이 거칠어진다. * 병원균은 병든 잎, 가지, 눈..
무턱대고 수목병탐구 일. 철쭉떡병 ★ 철쭉 떡병 ★ * 철쭉류와 진달래류에서 흔히 발생하는데, 특히 정원목으로 심은 경우에는 심하게 발생하여 관상가치를 떨어뜨리고 나무의 일부분이 죽는다. 해에 따라 발병량에 큰 차이를 보이는데, 봄비가 잦은 해에는 많이 발생한다. * Exobasidium spp. * 4월 말부터 잎과 꽃눈이 국부적으로 비후 되면서 흰색의 덩어리로 변한다.* 이는 감염됨 조직의 세포가 이상증식 및 이상비대 된 결과이며, 처음에는 광택이 있으나 곧바로 담자기와 담자포자가 밀생하여 흰 가루로 뒤덮인 듯하고 햇빛이 쬐는 면은 안토시아닌 색소가 발달하며 핑크색으로 변한다.* 이러한 흰 부분이 때로는 흑회색으로 변하는 것은 Cladosporium 류의 곰팡이가 부생적으로 자란 때문이다.* 병원균은 병든 부분의 줄기나 눈의 세포간극..
나만의 나무의사 공부법. 수목생리학 - 식물세포의 구성 식물세포의 특이점 : 세포벽, 엽록체, 액포 1 ) 핵- 핵은 세포의 생명활동을 조절하는 중심으로 DNA를 가지고 있어 세포의 생명활동, 증식, 유전 등에 중요한 역할- 염색사, 인, 핵막(이중막)으로 구성- 염색사는 DNA와 히트노 단백질로 구성(간기에는 염색사, 분열기에는 염색사가 응축되어 염색체로 관찰)- 인은 단백질과 RNA로 구성 -> 리보솜 합성 2 ) 세포질- 세포질은 핵을 둘러싸고 있는 부분으로서,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액포 등 여러 가지 세포 내 소기관들을 포함 3 ) 세포벽- 세포벽의 주성분은 셀룰로오스이며 세포막보다 두껍고 세포를 보호하며 모양을 유지- 세포막은 반투과성이지만 세포벽은 전투과성이여서 모든 물질을 투과시키므로 선택적 투과성이 없음 4 ) 세포막- 세포막의 주성분은 인지..
나만의 나무의사 공부법. 수목병리학 - 수목병해의 진단 ( 1 ) 진단의 정의- 진단 : 기주에 나타나는 표징과 병징 등으로부터 병의 원인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정밀한 검사를 통하여 유사한 병과 구별하여 적절한 병명을 결정하는 것 ( 2 ) 생물적 요인에 의한 수목병의 진단- 생물적 요인에 의한 수목병은 수목, 병원균 및 환경에 의해 시간이 경과되면서 발달된다. ( 3 ) 비생물적 요인에 의한 수목병의 진단- 비생물적 장해는 물리적인 상처에 의한 것과 매우 유사하여 병징이 발현되는 시간도 빠르면 몇 시간으로 짧은 편이며, 보통 며칠(1~3일)이내에 균일한 증상이 급작스럽게 나타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비기생성 수목병- 어떤 증상이 비기생성 원인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을 증명하려면, 우선 이상이 나타난 그 부위에 바이러스나 파이토플라즈마 또는 뿌리에 이상을 일으..
나만의 나무의사 공부법. 수목병리학 - 수목병해의 원인 및 발생 수목병해의 원인 생물적 원인곰팡이점무늬병, 탄저병, 흰가루병, 그을음병, 떡병, 가지마름병, 시들음병, 뿌리썩음병,녹병 등 대부분의 수목병세균뿌리혹병, 세균성 궤양병, 불마름병 등바이러스모자이크병 등파이토플라즈마빗자루병, 오갈병 등원생동물코코넛야자 hartrot병 등선충소나무시들음병(소나무재선충)기생성 종자식물새삼, 겨우살이, 칡 등비생물적 원인온도스트레스과도한 고온 및 저온수분스트레스대기의 과건 및 과습, 토양의 과건 및 과습토양스트레스토양습도의 과부족, 양분의 불균형, 토양경화, 산소부족 및 유해가스의 과다,염류집적, 중금속 오염, 토양산도의 부적당 등대기오염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탄화수소, 아질산, PAN, 오존, 산성비 등화학물질제초제, 제설제 등- 대부분의 수목병은 곰팡이에 의해 발생한다.  ..
나만의 나무의사 공부법. 수목병리학 - 수목병리학의 역사 ( 1 ) 수목병리학의 발달- (B.C. 370~286) 식물학의 원조로 불리는 테오프라스투스는 올리브나무를 포함한 몇 가지 식물의 병에 대하여 자세히 기록하고 있는데, 그원인을 ‘신의 노여움’때문이라고 하였다. - 19세기 중엽 독일의 로버트 하티그(1839~1901) 수목병리학의 아버지, 부후재 중의 균사와 그 외부에 나타난 자실체와의 관계를 처음으로 밝혔다.- 20세기 세계 3대 수목유행병 : 밤나무 줄기마름병, 잣나무 털녹병, 느릅나무 시들음병 ( 2 ) 우리나라에서의 수목병리학의 발달- 조선 후기 실학자 서유구(1764~1845)가 저술한 농서인 행포지에 “ 배나무 붉은별무늬병과 향나무의 관계”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1922년 청량리에 조선총독부 임업시험장이 설치돼서 산림보호에 관한 연구 ..
나만의 나무의사 공부법. 수목병리학 - 종자식물,동물,조류,지의류 수목피해 종자식물에 의한 수목의 피해 ( 1 ) 기생성 종자식물- 기생성 종자식물은 모두 쌍떡잎식물에 속한다.- 기생식물들은 대부분 정상적인 뿌리조직을 갖고 있지 않거나 거의 퇴화한 뿌리만을 갖고 있으므로 양분과 수분의 흡수를 다른 식물체에 의존하지 않고서는 살아갈 수 없다.- 이들은 뿌리대신에 흡기라는 특이한 구조를 갖고있다. 1 ) 겨우살이- 주로 활엽수와 녹음수에 기생한다.- 상록관목이라 늦가을이나 겨울에 특히 눈에 잘 띈다.- 특히 참나무류에 큰 피해를 주는데 구과류에 기생하는 겨우살이와는 분류학적으로 다른 종이다.- 활엽수에 기생하는 겨우살이는 Viscum, Loranthus, Taxillus 등의 종류가 있다.- 광합성이 가능한 잎과 줄기가 발달하고 뿌리는 없으며, 흡기로 수분과 양분을 흡수한다. 타원..
나만의 나무의사 공부법. 수목병리학 - 바이러스에 의한 수목병해 바이러스에 의한 수목병해 ( 1 ) 바이러스와 바이로이드의 발견-‘살아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고, 기주생물에 병을 일으킬수있는 감염성을 지닌 핵단백질 입자’- 광학현미경으로볼수없지만 전자현미경으로 볼 수 있다..- 세계최초로 발견된 바이러스는 식물바이러스인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TMV)- 1886년 mayer가 모자이크병의 병원체를 세균이라 생각하고 모자이크병이라 불렀다.- 1892년 Iwanosky는 모자이크병에 걸린 담배 잎의 즙액이 세균여과기를 통과한 후에도 감염력이 유지된다는 것을 밝혀 여과성병원체의 존재를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1898년 Beijerinck는 위와 비슷한 실험 끝에 세균보다 훨씬 작은 형태의 병원체가 존재한다고 결론지었는데 나중에 라틴어로 병독을 뜻하는 바이러스라고 부르게 되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