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70)
무턱대고 해충탐구 이십삼. 극동등에잎벌 극동등에잎벌 어린유충극동등에잎벌 노숙유충극동등에잎벌 산란흔극동등에잎벌 성충  ★ 극동등에잎벌 ★   * Agre similis * Azalea argid sawfly * 벌목 / 등에잎벌과 * 진달래, 철쭉류, 장미 등 * 유충이 무리를 지어 잎을 갉아먹으며, 잎가장자리부터 가해하여 주맥만 남는다.* 성숙하면 분산하여 가해량이 급격히 증가하며, 잎 전체와 새 가지의 부드러운 수피도 갉아먹는다.* 미관을 저해하고 성장에 지장을 초래하며, 심할 경우 고사하기도 한다. * 암컷성충은 몸길이가 약 9mm이며 광택이 있는 검푸른 몸에 배마디는 약간 엷다.* 더듬이의  밑마디와 흔들마디는 광택이 있는 검푸른색이고 채찍마디는 검은색이다.* 날개는 반투명한 흑갈색이고, 시맥은 흑갈색이다.* 어린유충은 머리가 검은색이고..
무턱대고 수목병탐구 삼. 단풍나무 타르점무늬병 ★ 타르점무늬병 ★   * 나무에 큰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조경수에서는 경관을 나쁘게 하며, 특히 단풍나무에서는 가을에 검은색의 자좌 주위가 녹색으로 남아 있어 지저분한 느낌을 준다. * 타르점무늬병은 아황산가스에 민감하기 때문에 인구밀집 지역이나 공장지대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 병은 나무의 생장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나 잎 표면에 타르를 떨어뜨린 것 같은 새까만 병반들이 지저분하게 나타나므로 나무의 관상가치를 떨어뜨린다. * 우리나라에서 단풍나무류에는 대형의 자좌를 형성하는 Rhytisma acerinum과 소형의 자좌를 형성하는 R. punctatum이, 버드나무류에서는 대형의 자좌를 형성하는 R. salicinum, 인동덩굴에서는 R. lonicericola가 알려져 있다. * 처음에..
무턱대고 해충탐구 이십이. 느티나무벼룩바구미 느티나무벼룩바구미 성충느티나무벼룩바구미 피해사진   ★ 느티나무벼룩바구미 ★  * Orchestes sanguinipes Roelofs * Zelkova jumping weevil * 딱정벌레목 / 바구미과 * 느티나무, 비술나무 *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중반부터 피해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1990년대 이후부터는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성충과 유충이 잎살을 가해하는데 성충은 주둥이로 잎 표면에 구멍을 뚫어 가해하고 유충은 잎의 가장자리부터 터널을 형성하며 갉아먹는다. * 피해를 입은 나무가 고사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피해를 입은 잎이 갈색으로 변해 미관을 크게 해친다. * 성충은 몸길이가 2~3mm이며 몸색깔은 갈색에서 흑갈색까지 다양하고, 뒷다리 넓적 마디가 크게 발달해 있어 벼룩처럼 잘 뛴다.* 알..
무턱대고 해충탐구 이십일. 버들잎벌레 ·버들잎벌레 성충버들잎벌레 번데기버들잎벌레 번데기에서 탈피하는 모습(같네요)버들잎벌레 번데기가 달려 있는 버드나무 잎  ★ 버들잎벌레 ★  * Chrysomela vigintipuctata * Salix leaf beetle * 딱정벌레목 / 잎벌레과 * 황철나무, 사시나무, 오리나무, 버드나무류 * 성충과 유충이 잎을 갉아먹는데 묘목이나 어린 나무에서 피해가 심하다. * 성충은 몸길이가 6.8mm~9mm이며, 몸이 길고 납작하다.* 암컷은 수컷보다 몸길이가 길며, 수컷의 복부 끝은 검은색이고 암컷은 황갈색이다.* 머리와 몸은 녹색 또는 남색의 광택이 나는 검은색이다.* 앞가슴등판은 가운데가 녹색 광택의 검은색이고 가장자리는 황갈색이다.* 딱지날개는 황갈색으로 20개의 청록색 무늬가 있으며 봉합선 근처는..
무턱대고 해충탐구 이십. 노랑배허리노린재 노랑배허리노린재 성충노랑배허리노린재 약충  이름 그대로 노랑배를 가진 노린재 ^_^ ★ 노랑배허리노린재 ★  * Plinachtus bicoloripes Scott * 노린재목 / 허리노린재과 화살나무, 사철나무, 참빗살나무, 회나무, 노박덩굴류 * 성충의 몸길이는 15mm 정도이고 등면은 균일한 흑갈색이고 더듬이는 4마디로 되어 있으며 연한 갈색이다.* 배는 황색 또는 황록색이며 검은 무늬가 있고 다리는 흑갈색으로 넓적다리마디의 가운데는 황색 부분이 넓다. * 약충과 성충이 잎과 열매를 흡즙하나 특히 열매에 많이 모여 흡즙한다. * 자세한 생태는 조사된 바 없으며 7월에 약충, 8월에 성충의 밀도가 높다. * 알을 잡아먹는 포식성 천적 무당벌레류, 풀잠자리류, 거미류 등을 보호한다.    ※ 출처 : ..
무턱대고 해충탐구 십구. 이팝나무 혹응애 이팝나무 혹응애 피해사진  ★ 이팝나무 혹응애 ★   * 이팝나무 * 이팝나무의 가지에 자그마한 벌레혹이 생기며, 벌레혹 표면은 거칠고 녹색, 붉은색, 갈색 순으로 변색된다.* 잎이 달리는 작은 가지에 벌레혹이 발생될 경우 잎은 오그라들면서 기형이 되고, 작은 가지에 많은 벌레혹이 발생하면 가지가 말라죽는다. * 성충은 몸길이가 약 0.3mm이고 구더기형이며 담황색을 띤다. * 정확한 생태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4월 중순부터 녹색 벌레혹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 4월부터 피리다펜티온 유제 1,000배액을 2주 간격으로 2회 이상 살포한다.   ※ 출처 : 네이버 나무 병해충 도감
무턱대고 해충탐구 열여덟. 구기자혹응애 구기자 혹응애 피해사진 ★ 구기자 혹응애 ★  * Eriophyes macrodonis Keifer * 거미강응애목 / 혹응애과 * 구기자나무 * 구기자나무 잎에 기생하여 직경 2mm 내외의 둥근 벌레혹을 만들고 그 안에서 서식하며 가해한다.* 벌레혹이 있는 잎의 표면은 볼록하게 융기하여 중심부는 움푹 들어가 뱀눈 모양을 하고 있다.* 벌레혹의 개구는 잎의 뒷면에 많다.* 많이 발생하게 되면 꽃도 떨어지고 열매도 일찍 떨어진다.* 대발생했을 때는 생산량이 34% 정도 떨어지게 된다.* 피해 입은 나무는 가지가 짧아지고 가해한 잎 색깔이 변하며 모양이 불규칙하게 된다. * 암컷 성충의 몸길이는 0.17~0.18mm이고 폭은 0.065mm이며 방추형에 가깝고 몸은 노란색을 띤다.* 겨울을 나는 암컷은 몸길이..
무턱대고 해충탐구 십칠.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피해양상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유충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성충  ★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 *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 Lager potato lady beetla * 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 * 한국,일본,중국,타이완,러시아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북지역에 주로 분포하는데 야산과 인접한 곳에서 흔히 발생한다.* 이른 봄부터 늦가을까지 성충과 유충이 구기자나무의 잎 뒷면에서 잎맥만 남기고 표피 이외의 잎살을 갉아먹어 그물 모양의 식흔을 남긴다. * 가해부위는 초기에 회백색을 띠지만 시일이 경과하면 갈색으로 변한다. 성충 1마리의 섭식량이 많아 피해가 매우 크고, 유충의 섭식량도 영기가 지날수록 증가한다. * 성충은 몸길이가 암컷이 7.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