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58)
무턱대고 해충탐구 삼십오. 꼬마독나방 꼬마독나방 유충꼬마독나방 성충    ★ 꼬마독나방 ★   * Euproctis pulverea * 나비목 / 독나방과 * 벚나무류, 무궁화, 배롱나무, 채진목, 복숭아나무, 매실나무, 장미류, 귤나무류, 소귀나무, 사스레피나무 등  * 유충은 잎을 갉아먹는다. * 유충 5~11월, 성충 6~9월 이듬해 4~5월 * 유충 18~20mm 내외, 성충 20~33mm* 유충 몸은 노란색이고 양 옆에는 검은 무늬가 있다.* 앞가슴 양 옆에 붉은색 돌기가 있으나 무늬독나방처럼 매우 긴 털 다발은 없다.* 무늬독나방은 배 1,2마디 윗면 전체가 검은색이나 꼬마독나방은 노란색 바탕에 검은색 털 다발이 있다.* 성충 앞날개는 노란색 바탕에 갈색 무늬가 있는데 암수에 따라 무늬가 차지하는 면적이 다르다. * 연 2회 발생..
무턱대고 해충탐구 삼십사. 홍가슴루리등에잎벌 홍가슴루리등에잎벌 유충홍가슴루리등에잎벌 성충    ★ 홍가슴루리등에잎벌 ★    * Arge captiva * 벌목 / 등에잎벌과 * 느릅나무, 느티나무 등 * 유충이 잎 뒷면에 모여 살면서 식해하며 한 잎에 수십마리의 유충이 모여 잎가부터 식해하며 대발생하여 나무를 벌거숭이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 성충의 몸길이는 10mm정도이고 청남색으로 가슴은 등색이다.* 유충의 몸길이는 20mm정도이고 황녹색이며 각 마디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 연 2회 발생하며 흙속의 고치 속에서 노숙유충으로 월동한다.*4월 하순~5월 상순에 번데기가 되고 5월 중순경에 우화하여 산란한다* 부화유충은 잎 뒤에 모여 살면서 잎맥을 남기고 식해하나 노숙유충은 잎전체를 식해하며 6월에 피해가 심하다.* 2세대 성충이 7월에 우화..
무턱대고 해충탐구 삼십삼. 감나무주머니깍지벌레 감나무주머니깍지벌레의 피해사진감나무주머니깍지벌레 성충   ★ 감나무주머니깍지벌레 ★   * Asiacornococcus kaki * 감나무 * 나무 가지와 잎 등에 기생하여 즙액을 빨아먹으므로 수세가 약화되며, 심할 경우에는 말라 죽는다. * 피해가 심하면 가지가 말라 죽기도 하고 과일이 떨어지기도 하며, 그을음병도 유발한다. * 감나무에 전국적으로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 암컷 성충의 몸은 타원형이고, 몸길이는 약 2.0mm이고, 넓이는 약 1.3mm이다. * 몸 전체에 원추형의 짧고 넓은 가시털이 분포하고, 가장자리에는 긴 원추형의 가시털이 줄을 이룬다. * 더듬이는 짧고 보통 3 마디이며, 제1, 제2마디는 짧고 넓으며, 제3마디가 가장 길다. * 감나무 껍질에서 겨울을 보낸 알은 4월 ..
무턱대고 해충탐구 삼십이. 사사키잎혹진딧물 사사키잎혹진딧물 벚나무 피해사진   ★ 사사키잎혹진딧물 ★   * Tuberocephalus sasakii * Sasaki cherry aphid * 벚나무류 * 성충과 약충이 벚나무의 새 눈에 기생하는 진딧물로 잎 뒷면에서 즙액을 빨아먹어 그 부위가 오목하게 들어가고 잎 앞면에는 잎맥을 따라 주머니 모양의 벌레혹을 1개~수 개를 만든다.* 벌레혹의 길이는 20mm, 폭은 8mm로 표면이 두꺼워지면서 경화된다.* 벌레혹의 색은 처음에는 황백색이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황록색 또는 홍색으로 변하고 결국에는 갈색으로 말라 잎에 붙어 있어 미관을 해친다. * 유시충은 몸길이가 약 1.7mm로 머리는 검은색, 가슴은 흑록색, 배는 노란색이다. * 더듬이는 검은색이고, 뿔관은 연한 검은색이며 끝편은 노란색이다.* 다..
무턱대고 해충탐구 삼십일. 목화명나방 목화명나방 피해사진목화명나방 유충목화명나방 탈피 후 번데기껍질목화명나방 성충  ★ 목화명나방 ★   * Haritalodes derogata * Cotton leaf roller * 나비목 / 포충나방과 * 무궁화, 벽오동, 참오동나무, 아왜나무 등 * 무궁화를 가해하는 최대 해충의 하나로 유충이 잎을 둥글게 말고 그 속에서 거미줄을 치고 잎을 가해하는데, 어린 유충은 잎맥을 따라 잎을 가해하지만 노숙유충이 되면 잎맥도 남기지 않고 잎 전체를 가해한다.* 경관을 해치고 수세가 쇠약해지며, 피해가 심할 경우 고사할 위험도 있다. * 성충은 날개길이가 22~34mm이며, 머리는 황백색이고 더듬이는 담갈색으로 흑갈색 인편이 덮여 있다.* 앞날개의 바탕색은 황백색이고, 횡선과 무늬는 갈색이며, 시맥도 갈색으로 ..
무턱대고 해충탐구 삼십. 사철깍지벌레 굴껍데기모양의 암컷, 긴 모양의 수컷   ★ 사철깍지벌레 ★    * Unaspis euonymi * Euonymus scale * 노린재목 / 깍지벌레과 * 사철나무에서 피해가 크게 발생하며 꽝꽝나무·동백나무·참빗살나무·화살나무·회양목 등에서도 발생한다. * 성충과 약충이 잎, 가지, 줄기에 집단으로 모여 즙액을 빨아먹어 수세가 약해지고 밀도가 높으면 나무를 고사시키기도 하며, 2차적으로 갈색고약병, 회색고약병 등이 발생하여 피해가 더욱 확산되기도 한다. * 암컷성충의 깍지는 길이가 1.6~2.0mm이며 갈색으로 굴 껍데기 모양이다.* 깍지 속의 암컷성충은 길이가 약 1.5mm이며 노란색으로 긴 타원형이고 몸마디의 구분이 명확하다.* 수컷의 깍지는 길이가 약 1.4mm이며 긴 형태로 등면에 3개의 융기..
무턱대고 해충탐구 이십구. 팽나무혹응애 팽나무혹응애 피해사진   ★ 팽나무혹응애(가칭) ★   * 팽나무 * 성충이 잎 뒷면으로 침입해 잎 앞면에 크기가 약 2mm인 녹색 벌레혹을 만들고 그 안에서 가해한다. * 성충은 몸길이가 약 0.2mm로 구더기형이며, 담황색을 띤다. * 자세한 생태는 밝혀지지 않았다. * 새잎이 나오는 4월부터 피리다펜티온 유제 1,0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2회 이상 살포한다.    ※ 출처 : 네이버 나무 병해충 도감
무턱대고 해충탐구 이십팔. 백합나무 진딧물 ★ 백합나무진딧물(가칭) ★   Illinoia liriodendri * 튤립나무(백합나무) * 성충과 약충이 집단으로 기생하며 수액을 빨아먹어 수세가 저하되며, 감로로 인해 부생성 그을음병이 유발된다. * 유시충은 몸길이가 약 2.3mm로 머리와 가슴은 담황색이고 배마디는 담녹색이다. * 무시충은 몸길이가 약 2.4mm로 담녹색이고 뿔관은 검은색이다. * 백합나무의 주요 진딧물이지만 우리나라에는 2011년에 최초로 보고되어 국내에서의 생태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5~10월에 무시충, 유시충, 약충을 기주수목에서 볼 수 있다. * 5월 중순부터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 2,000배액 또는 디노테퓨란 수화제 1,0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한다.    ※ 출처 : 네이버 나무 병해충 도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