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71)
나무의사가 되어보자!! 나무의사 응시자격 2019년 어느 날 조경업계에서 일하는 지인이 나무의사 자격증을 추천했다.2023년 6월 28일 산림보호법 시행규칙이 개정된 이후에는 나무의사자격증이 있어야만 수목을 진료할 수 있다며 5년간의 유예기간 안에 한번 도전해 보라고 강추했다.나무의사란 단어가 너무 생소하고 또 그당시에는 정보도 얼마 없어서 할 수 있는 건 양성기관에 신청하는 것뿐이었다.어디서부터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도 막막했다. 마땅히 확실한 교재도 없었기에 더 우왕좌왕하고 있었다.그 와중에 양성기관을 추첨에서 3번 떨어졌다. ^_^ 정말 딥하게 빡침... 그때 때마침 또 코로나가 터졌다. 신이 나요 신이 나~~~ 주말반에서 번번이 추첨에 실패했던 나는 어쩔 수 없이 수요가 높은 평일반에 도전했다. 때마침 코로나 때문에 일도 없겠다 싶어서....
나만의 나무의사 공부법 수목해충학 삼.단식,광식,협식 월동태, 발생횟수와 함께 같이 외워야 할 단식성, 협식성, 광식성 해충  한종 또는 같은 속의 여러종만 가해줄마디가지나방 - 회화나무회양목명나방 - 회양목뽕나무명나방 - 뽕나무제주집명나방 - 후박나무개나리잎벌 - 개나리밤나무혹벌 - 밤나무구기자혹응애, 붉나무혹응애, 회양목혹응애, 향나무잎응애, 소나무혹응애 - 주로 혹응애자귀뭉뚝날개나방 - 자귀나무, 주엽나무솔껍질깍지벌레, 소나무가루깍지벌레, 소나무왕진딧물(왕진딧물류), 솔잎혹파리, 소나무좀, 애소나무좀, 노랑애소나무좀 - 소나무뽕나무이 - 뽕나무아까시잎혹파리 - 아까시나무느티나무벼룩바구미 - 느티나무, 비술나무황다리독나방 - 층층나무큰팽나무이 - 팽나무자귀나무이 - 자귀나무   기주수목이 1~2개과솔나방, 솔잎벌,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 광릉긴나..
나만의 나무의사 공부법 수목해충학 이.발생횟수 공부하는 법을 올리려고 자료를 찾다보니 새삼 아주 무식한 방법으로 전투적으로 공부했구나 싶다.나자신 몹시 칭찬해 ^_^ 수목해충학은 월동태와 횟수는 무조건 외워야지 안정적으로 점수를 받을수있다!!! 시험을 두번 광탈한후 깨닫게 되었다. 후후 절대 아리까리하지 않게 헷갈리지 않게 무조건 달달달 기계적으로!! 자귀뭉뚝날개나방, 소나무순나방, 흑색무늬쐐기나방, 대나무쐐기알락나방, 장수쐐기나방, 배붉은흰불나방, 미국흰불나방, 몸큰가지나방, 큰붉은잎밤나방, 네눈가지나방, 줄마디가지나방, 재주나방(자! 소흑대장 배미몸에 큰네줄이 있재) 흰독나방, 사과독나방, 차독나방, 왕뿔무늬저녁나방, 배저녁나방, 사과저녁나방(흰독사과차는 저녁에 왕배사과) 분홍등줄박각시, 뱀눈박각시, 솔박각시, 복숭아심식나방(1-3회)(분홍뱀솔과..
나만의 나무의사 공부법 수목해충학 일.월동태 나무의사를 2년에 걸쳐 힘들게 땄다. 고등학생 시절 이런식으로 공부했으면 대학교가 바꼈겠다 싶을정도로 열심히 빡세게 했다. 4번의 필기와 1번의 실기로 간신히 동차합격을 하였다. 4번의 필기도전을 하면서 생긴 노하우라고 하기엔 비루한 나만의 공부법정도를 적어볼까 한다. 나무의사는 총 5과목으로 수목생리학, 수목해충학, 수목병리학, 토양학, 수목관리학으로 나누어져있다. 내가 그중 가장 자신있다고 생각한 과목은 수목해충학이었는데  해충학은 무조건 월동태랑 발생횟수를 완벽하게 외워야한다.  진짜 월동태랑 발생횟수만 완벽하게 외워놓으면 절반은 그냥 풀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3번째 불합격때 나는 다 외웠다고 생각하고 갔는데 알고 보니 대충외워서 아리까리해서 다 틀렸다.  순서대로 하기엔 나도 정확히 기..
무턱대고 벌레탐구 십오. 미국선녀벌레 미국선녀벌레, 주홍날개꽃매미, 갈색날개매미충은 중요외래해충이자 농가,산림등에 피해를 많이 입히는 해충이다. 내가 미국선녀벌레의 존재를 처음알게 된 것은 2019년도 어느 날이었다. 삼악산에 올라갔다가 하산길에 어떤 솜뭉치들로 뒤덮여있던 들꽃들을 보았다. 같이 갔던 동생과 함께 저 솜뭉치들은 멀까 하면서 등산스틱으로 건드려보았는데 흰색 솜뭉치들이 갑자기 온사방으로 튀어나가서 소리를 지르며 도망갔던 기억이 난다. 그즈음 나무의사에 관심을 가지던 터라 흰색솜뭉치를 열심히 검색해서 선녀벌레, 미국선녀벌레, 갈색날개매미충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그때 내가 봤던 게 정확히 무엇인지는 알 수 없으나 중요한 건 건드리면 정말 힘차게 튀어 오른다.... ▲ 2023.07.06. 왕송호수 산책길에 보게 된 미국선녀벌레 약..
무턱대고 벌레탐구 십사. 목화명나방 사무실옆에 무궁화가 난리가 났다. 누가봐도 해충이 갉아먹은 흔적. 어떤 녀석이 이 난리를 쳐놨을까 궁금해서 번데기를 수집해 나의 소중한 곤충채칩통에 넣었다. 그랬더니 며칠후에 목화명나방이 튀어나왔다. ^_^ 명나방과는 잎뒷면에 앉는 버릇으로 인해 사진을 찍기가 힘들었는데 잎하나 없는 채집통에 수줍게 앉아있는 목화명나방을 신나게 찰칵찰칵. 저 얼룩덜룩한 무늬와 솟구쳐있는 꼬리? 엉덩이? 부분이 포인트구나. 전날 무궁화에서 큰붉은잎밤나방의 유충을 찾았기에 당연히 그녀석의 가해흔적인줄 알았는데 저렇게 잎을 둥글게 말고 그속에서 거미줄을 치고 잎을 가해하는 흔적은 목화명나방의 피해였다. 큰붉은잎밤나방도 무궁화해충이지만 잎을 말지도 않고 거미줄도 보이지 않는다. 잎의 주맥만 남기고 다 갉아먹는다. ★목화명나방★ ..
무턱대고 벌레탐구 십삼. 미국흰불나방 미국흰불나방은 우리나라에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나무의사 공부할때 심각한 해충으로 공부를 하긴 했지만 실제 눈으로 피해를 본적은 없었는데 올해 여름에 미국흰불나방을 관찰해본 결과 정말 큰 문제이다. 정말 굉장히 아주 몹시 대단히 큰 문제이다. 길거리를 지나가다가 어깨위에 미국흰불나방유충을 달고 다닌적도 있고 버스정류장에서 무릎에 살포시 올라와있던 적도 있다. 그리고 호숫가근처 식당에서 밥을 먹는데 신나게 탁자위를 돌아다니고 있었다. ▲ 2023.07. 10. 수원 성균관대역 근처. 미국흰불나방 유충 ▲ 2023. 08.23. 왕송호수 2화기 성충(수컷) 미국흰불나방은 성충의 암수더듬이가 다르다. 수컷은 깃털모양, 암컷은 톱니모양 ▲ 2023. 08.24. 왕송호수 짝짓기중인 미국흰불나방(밑에 살포시..
무턱대고 벌레탐구 십이. 주홍날개꽃매미 그동안 돌아다니면서 열심히 주홍날개꽃매미 사진을 찍었다. 하지만 정말 아쉽게!! 4령충을 찍지못했다 ㅠㅠ 붉디붉은 빨간날개딱지를 찍고싶었는데... 덥다는 핑계로 잠시 벌레관찰을 멈췄더니 그사이에 성충이 되어있었다... 2023.05.31 관문체육공원 가죽나무에서 찍힌 약충 2023. 06.07 수원화성 머루덩굴 약충 2023.07.20 관문체육공원 가죽나무에 덕지덕지 붙은 성충 2023.07.20 점심먹고 사무실로 돌아가는길에 버스에 붙은 성충 그 점박이 날개 안에 빨간 날개가 숨겨져있다. 주홍날개꽃매미는 포도랑 가죽나무를 좋아한다더니 정말 가죽나무를 엄청 붙어있다. ★ 주홍날개꽃매미 ★ Lycorma delicatula 노린재목 / 꽃매미과 붉나무, 옻나무, 두릅나무, 갈참나무, 뽕나무..

반응형